그가 죽은 지 십 년도 훨씬 넘었지만 팬들 가슴 속에선 언제나 부활 중이다. `서른 즈음에`같은 경우엔 금세기 최고의 노랫말과 노래가 될 정도였다. 그가 전설이 되고, 그의 노래가 신화처럼 붙박이는 동안, 대구 방천시장엔 벽화로 만든 그의 거리까지 생겨났다.
만인의 김광석은 거기까지였으면 싶었다. 나 혼자만의 욕망일 한 곡쯤은 숨겨두고 싶었다. 그의 사후 앨범 `노래 이야기` 첫 번째 수록곡인 `먼지가 되어`가 그런 노래였다. 노랫말 주인도, 작곡자도, 노래의 원주인도 그가 아니었다. 라이브로 리메이크한 그 노래는 김광석 것 아닌 것이 김광석에게 와서 듣는 이의 감성을 후벼 파는 그런 종류였다.
그 노래가 검색어 앞 순위를 다투고 있다. 모 방송 가수 발굴 프로그램에서 경쟁자끼리 듀엣으로 불렀는데 화제가 되었단다. 뒤늦게 동영상 화면을 찾아봤다. 난리 날만하다. 락 버전으로 부른, 두 도전자의 하모니에 눈과 귀가 뚫렸다. 김광석의 담담함도 좋지만 젊은 듀엣의 패기도 만만찮았다. 먼저 그 진가를 발견한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어갈 때의 야릇한 서운함 같은 게 잠깐 밀려왔다. 하지만 진작 누군들 이 노래를 좋아하지 않았을 것인가.
혼자만 간직하고픈 것일수록 만인의 것이 되기 쉽다. 이왕 이렇게 됐으니 적극 광고나 해야겠다. `시를 써 봐도 모자란 당신`이 생각나는 이들아, `먼지가 되어`를 다섯 번만 들어 보라. 김광석의 라이브도 좋고, 젊은 듀엣의 도전곡도 상관없다. 가을맞이 선물로 이보다 맞춤한 감성 충전제는 없을 것이다.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