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 앞에 장사 없다고, 요즘은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커피를 마시면 속이 콕콕 쑤시고 불면의 밤도 각오해야 한다. 이 오묘하고 불쾌한 경험이 잦아진 뒤에야 언니가 헛말한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됐다.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당사자가 겪어 보기 전에는 완전하게 공감하기 힘든 것이다.
병적인 징후까지는 아니지만 나는 고소공포증을 느끼는 부류이다.`바이킹`이란 놀이기구가 처음 나왔을 때 주제도 모르고 올라탔다가 혼비백산을 한 적이 있다. 얼마 전 대둔산에 올랐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몇 십 미터 이상 가파르게 뻗은 철제 사다리를 오기 하나로 도전했다가 눈물바다가 됐다. 되돌아설 수도 없는 그 까마득한 계단을 오르는 심정은 끝없는 지옥 밑바닥을 헤매는 것과 같았다. 허벅지는 후들거리고, 심장은 옥죄어왔다. 공포심의 절대 풍경이 있다면 그것이 아닐까 싶었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 고소 공포 체질이 아닌 사람들은 이해를 잘 하지 못한다. 그것쯤이야 한다. 자신에게는 해당 사항 없으니 공감하기 쉽지 않아서 그렇다. 그걸 탓할 수는 없다. 다만, 세상엔 하찮은 것도 사소한 것도 없다. 아픔은 아픔이고, 공포는 공포일뿐이다. 내가 경험하지 않았다고 덜 아프고, 내가 느끼지 않았다고 덜 고통스러운 게 아니다. 섣불리 사물이나 대상을 재단해서는 안 된다. 사람에게 사소한 것이란 아무 것도 없으므로.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