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장애 헤쳐가며 모천 회귀 연어의 위기 관리 배워라

임재현기자
등록일 2012-07-30 21:58 게재일 2012-07-30 1면
스크랩버튼
김용민 포스텍 총장, 아·태 서미트서 강조
김용민 포스텍 총장<사진>이 구상한 연구중심대학과 지역사회의 관계정립 방안이 최근 지자체들이 암중모색 중인 창조도시 논의에 큰 시사점을 주면서 반향을 얻고 있다.

김 총장은 지난 27일 오전 포항 필로스호텔에서 열린 제10회 아태도시 서미트의 개막식에서`연구중심대학의 지역사회 역할`이라는 주제발표로 타카시마 일본 후쿠오카시장 등을 비롯한 해외 단체장들을 매료시켰다.

김총장은 이날 유창한 영어로 30여쪽 분량의 자료를 특유의 `연어론`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지역사회와 지방 및 중앙 정부, 연구중심대학의 협력 방안과 위기극복 플랜을 제시했다.

김 총장은 먼저 최근 뉴욕타임즈가 `제2의 M.I.T는 어느 대학이 될 것인가`라는 기사를 통해 포스텍이 25년의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젊고 우수한 강소대학이 된 비결을 소개했다.

김 총장은 포스텍의 성공은 기술과 인재 등 요소를 적절히 활용한 우수한 기획과 혁신, 기업가정신의 산물이라며 무엇보다 혁신을 위해 개인과 기업, 대학이 모두 연어로부터 배울 것을 강조했다.

그는 연어가 모천으로 회귀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포식하려는 곰과 갖가지 장애물 등을 상대로 위기관리의 시험대를 넘어야 하듯 과학자도 학술적 성과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소위 `죽음의 계곡`을 무사히 통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총장이 강조한 제품개발의 상용화 시스템은 최근 지자체들이 앞다퉈 논의 중인 창조도시 플랜과 맞닿아 있다. 즉 과학자와 기업인 등의 아이디어가 시장 진입에 성공하기까지 사업 기획과 개발, 각종 규제 통과,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기업과 대학, 지방정부가 긴밀한 협력을 펼쳐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김 총장은 특히 포스텍을 이 시스템의 모델로 제시하며 국내 최초의 연구중심대학으로 개교 이후 방사광가속기 건립, 1만1천여명의 졸업생과 산학 협력을 통해 포항이 제4세대 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을 유치함으로써 글로벌 도시로 발전하는 비전에 기반이 돼 왔다고 설명했다.

김용민 총장은 포스텍과 포항시의 지난 관계가 제시하듯 산·학·관의 긴밀한 협력은 지속가능한 하이테크 경제와 국가 및 지방의 이익과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미국의 예를 들며 시애틀은 주역 기업인 보잉사의 적자 경영에 따른 위기를 워싱턴대와 프레드허친슨연구소의 명성으로, 철강업의 위기로 퇴락한 피츠버그시는 카네기멜론대의 연구중심 기능으로 각각 타개했다고 제시했다.

이날 주제발표에 대해 일본의 소이치로 타카시마 후쿠오카 시장은 “박승호 포항시장의 소개로 기술상용화 전문 과학자인 김용민 총장에 대해 알고 있다”면서 “낯선 이론은 아니지만 풍부한 경험을 통해 산학관의 협력과 지자체의 미래를 제시한 점에서 아태도시서미트의 중요한 성과 하나를 얻고 돌아간다”고 말했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