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재건축 재검토 영향
서울시는 최근 한강변 아파트를 초고층으로 재건축으로 하는 정비구역 사업에 대해 본격적인 재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사업은 서울시가 2009년 2월 `한강 공공성 회복 선언`을 통해 한강변 재건축 단지들의 초고층을 허용하는 대신 사업부지의 25% 이상을 기부채납으로 받아 공원, 문화시설 등을 조성함으로써 수변공간의 공공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로 시작됐다.
당시 서울시는 압구정, 이촌, 여의도, 잠실, 성수, 반포, 구의·자양, 당산 등에 있는 재건축 단지에 이 같은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들 지역은 전통적인 부촌이 많아 지역 브랜드가 갖는 의미가 큰데다 한강변에 있어 재건축 후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컸던 만큼 투자수요가 몰려 가격이 급등했었다.
하지만 주택시장의 장기불황, 사업의 적극 추진했던 오 시장의 갑작스러운 사퇴, 박원순 시장의 취임 등으로 이 지역의 아파트의 몸값은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시가총액 감소폭을 지구별로 보면 압구정지구가 1조3천611억1천만원으로 가장 컸고 반포지구(8천971억7천500만원), 잠실지구(8천47억9천만원), 여의도지구(2천287억7천500만원), 이촌지구(2천11억7천500만원), 구의·자양지구(1천57억4천500만원), 성수지구(326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합정지구는 오히려 141억6천250만원 올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