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이`는 신라시대부터 경주지역에서만 주로 사육되었으며, 꼬리가 없거나 매우 짧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사람을 잘 따를 뿐만 아니라 용맹하고 영특한 성품을 지니고 있어 경주시청의 `지킴이`로 나섰다.
일제 강점기를 기점으로 꼬리가 없다는 이유로 멸종위기에 처하게 된 경주개 동경이는 경주시와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에서 복원의 뜻을 같이해 지난 2006년부터 현재까지 혈통보존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50여호에 약 280여두를 사육 중이다.
경주시는 경주개 동경이 혈통 복원 및 육성을 위한 DNA분석, 혈통관리, 사양관리, 사육시설 등을 지원하여 동경이 보존에 나서고 있다.
동경이는 2010년 10월, 한국애견협회로부터 `한국토종견 4호`로, 2011년 4월 아시아 애견연맹으로부터 `아시아견종` 인증을 받았다.
/윤종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