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된 것은 분청사기 귀얄문 대접 편으로, 거기에는 `라랴러려로료루`라는 한글이 크고 선명하게 음각돼 있었고 그 위쪽에는 다소 작게 `뎌도됴듀`라는 글자가 표기돼 있다.
부산박물관 측은 “도자기 제작 연대가 16세기 전반기로 추정돼 한글 반포 후 반세기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의 글씨란 점에서 한글 전파가 신속히 이뤄졌음을 반증하는 자료로 중시된다”고 했다.
/연합뉴스
문화 기사리스트
원법사 주지 해운 스님 ‘2025 자랑스러운 동국인 대상’
“고전을 통해 현재의 문제를 풀기 위한 지혜 얻길”
바로크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음악의 향연
작곡가박태준기념음악회 내일 대구문화예술회관서 개최
포항 꿈틀로 주민 협의체 ‘트리플A’ 색소폰 공연 등 ‘가을 음악회’ 개최
“꿈과 현실 속 일상의 낯선 아름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