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생활폐기물 전처리시설 보류되나

이준택기자
등록일 2009-04-27 20:51 게재일 2009-04-27
스크랩버튼
포항시가 에너지시설설치 전 단계로 추진하는 전처리시설이 보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압축·포장 등의 과정을 제외한 전처리시설을 통해 매립장내 재활용을 강화하는 한편 매립장 수명연장을 꾀해야 한다(본지 15일자 3면 보도)는 지적과 관련, 포항시의회가 방향을 새롭게 정리했기 때문이다.


포항시의회 보사산업위(위원장 최용성) 임시회기간중 간담회를 열고 청소과로부터 관련업무에 대해 보고받고 매립장 수명연장을 위해 매립되는 생활폐기물의 재활용 강화 등을 지적했다.


매립장 내 비가림 시설 설치와 최소비용을 투입한 선별기설치 등을 통해 매립장 수명도 연장하고 일자리창출도 도모하라는 것.


의원들은 또 기본적으로 생활폐기물배출량을 줄이는 방안강구와 함께 주부 등을 대상으로 재활용에 대한 교육강화방안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의원들은 특히 이날 집행부의 반대입장에도 불구하고 전처리시설추진(압축·포장)에 대해서는 사실상 보류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청소과 관계자는 이에대해 “의원들의 입장에는 공감하지만 현재 추진하려고 하는 전단계 사업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형성해 줬으면 좋겠다”며 아쉽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따라 포항시가 에너지시설 설치 전 단계로 추진하려던 전처리시설은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포항시는 에너지시설 전단계로 전처리시설을 민간위탁형식으로 추진하려다 포항시의회 보사산업위로부터 직영처리할 것을 요구받고 보사산업위 내에서는 몇달동안 현장방문 등을 통한 갑론을박을 펼쳐왔다.


포항시는 민간위탁의 경우 3년동안 152억원이 지출되는 반면 수입은 376억원으로 224억원이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했다. 직영의 경우 시설비와 운영비 등을 포함해 2년2개월동안 132억원을 지출되는 반면 272억원의 수입이 발생해 140억원의 수입이 예상된다며 민간위탁을 주장해왔다.


한편 환경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법 목적에 반영하고 폐기물재활용업을 신설하는 등 재활용 관리체계를 전반적으로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폐기물관리법 일부개정안을 입법예고한 상태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에따르면 발생억제, 사전예방, 친환경적 처리, 원인자 책임, 국내처리, 물질적 재활용 우선 등 기본원칙이 신설돼 폐기물 관리에 대한 환경부의 정책기조가 기존의 소각과 매립을 벗어나 순환이용 위주로 공식적으로 바뀐다.


/이준택기자 jtlee@kbmaeil.com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