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봄비 그 친 뒤...남호섭

등록일 2009-03-23 19:20 게재일 2009-03-23
스크랩버튼

비 갠 날 아침에

가장 빨리 달리는 건 산안개다.

산안개가 하얗게 달려가서

산을 씻어내면

비 갠 날 아침에

가장 잘 생긴 건

저 푸른 봄 산이다.

- 놀아요 선생님(창비·2007)

남호섭의 새 동시집 ‘놀아요 선생님’은 ‘타임캡슐 속의 필통’(창비·1995)이 나온 지 12년 만에 발간되었다. 12년이라니, 그동안 남호섭의 시집을 애타게 기다려온 독자에게 좀 심했다 싶다. 그래도 그는 시집 앞머리에서 어느 시인이 19년 만에 좋은 시집을 발간한 것을 상기하며 시집 내는 일을 부끄러워했다. 동시를 쓰는 남호섭 시인은 지금 경남 산청 지리산 자락에 있는 대안학교인 간디학교 교사다. 이번 동시집 ‘놀아요 선생님’은 지리산 자락의 아름다운 자연 풍광과 그 아래서 씩씩하게 뛰놀고 구김살 없이 공부하는 아이들과의 부대낌 속에서 얻어진 이야기들로 채워져 있다. 위 동시 ‘봄비 그친 뒤’는 달리 설명할 필요가 없으리라. 그냥 소리 내어 한 번 읽으면 그 빛깔과 내용이 단번에 다 들어온다. 비 갠 날 아침에 하얗게, 빨리 달려가 산을 씻겨주는 저 고마운 산안개를 나는 남호섭 시인으로 읽는다. 각각의 이런저런 사정으로 자연 속 대안학교를 찾아온 아이들에게 우리말(시)과 올바른 삶을 가르치는 선생님의 노고에 나는 두 손을 모은다. 한때 나는 남호섭 시인과 같은 직장 같은 문학 단체에서 활동을 한 적 있다. 그와 함께 했던 지난날의 그때가 무척 그립다. 가을 들녘에 핀 코스모스 같이 단아한 남호섭 형! 그가 보내준 시집으로 짐작건대 그곳의 삶이 참 좋아 보인다. 이 봄꽃 다 피고 지기 전에 지리산 아래로 훌쩍 한 번 달려가야겠다. 그곳에 가서 나도 말갛게 세수를 해야지.

해설<이종암·시인>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