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의 80% 내외가 국·도비에 의존하는 실정을 감안하면 시장은 물론 국회의원, 도·시의원 등 지역 정치권의 분발이 촉구된다.
최근 각 시·군이 내년도 예산안을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인구를 기준으로 영주시는 도내 10개 시 단위 중 7위이지만 예산은 9위로 나타났다.
내년도 예산안이 3천748억 원인 영주시보다 인구가 적은 영천시는 4천12억 원, 상주시 4천805억 원으로 큰 격차로 앞섰다. 상주시에 비해서는 무려 1천억 원이 적은 것이다.
또한, 인구가 크게 적은 문경시는 3천713억 원이었고, 군 단위인 의성군이 3천514억 원으로 나타나 영주시의 예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인구가 2만여 명 더 많은 김천시는 4천800억 원, 5만여 명 많은 인근 안동시가 5천864억 원에 이르러 인구 대비 심한 편차를 보였다.
경북도 내 대부분 시·군의 예산은 국·도비에 의존하는 만큼 영주시의 저조한 예산 규모는 불균형적인 예산배정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인구나 낙후성 등 예산 규모가 큰 격차를 보일 이유가 없어 영주시가 정부나 경북도로부터 홀대받는다는 푸념이 나오고 있다.
예산 차이가 매년 누적되고 있어 낙후성이나 상대적 박탈감이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에, 시 예산부서 관계자는 “예산은 인구가 기본바탕이긴 하지만 정책적으로 필요한 사업이 있거나 지역여건에 따라 편차를 보이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용호기자 yele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