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오피니언

숙자는 힘이 세다

숙자라는 사람이 있다죽도시장이라는 큰 세상에 산다그는 키가 커서 멀리 보는 게 아니라마음이 높아서 그럴 거다세상의 장터인 죽도시장을 지키는 사람으로그 길목에서 바람을 감지한다태평양에 어제 밤에 오줌을 누었단다새침하게 내륙의 향기를 바다에 풀었단다비린내 나는 사람의 온기가 아니어도꽉 차게 마음에 흔적을 남기는,그런 사람이 있다세상이 살만 하다는 것은 작은 것에서 시작이 된다짜고도 씀씀한, 늘 그렇게,그의 생업처럼 사람과의 관계를숙성시키고 버무릴 줄 아는,젓갈이 왜 아름다운 밑반찬인가그렇게 숙자는 사람을 사랑하는힘이 센 사람이다나팔꽃 같고 사르비아 같다그런가 하면 쌍욕으로 무례를 응징할 줄 안다나는 그런 것에서 용기를 얻었다우리 곁에는그런 사람이 꼭 있다그래서 산다실핏줄이 동맥보다 못 하랴.숙자라는 사람은 개인인 동시에 죽도시장 대부분의 상인을 지칭하는 일종의 대명사로 생각하면 좋겠다. 그들은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삶을 사는 것이다. 옳고 그름에 편향되지 않고 묵묵하게 인생의 서사를 완벽하게 구사하는 사람들이다. 어떤 오페라보다 화려하다. 그러나 결코 사치스럽지 않다. 검소하면서도 조금도 누추하지 않다. /이우근 이우근 포항고와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문학선’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해 시집으로 ‘개떡 같아도 찰떡처럼’, ‘빛 바른 외곽’이 있다.박계현 포항고와 경북대 미술학과를 졸업했으며 개인전 10회를 비롯해 다수의 단체전과 초대전, 기획전,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여했다. 현재 한국미술협회 회원이다.

2024-08-21

과메기

빨랫줄에 내어 걸린청어며 꽁치는먼 바다의 소리를그 공복에다 차곡차곡 담는다바람에 걷어차이고햇살에 희롱당하고 나면슬슬 부아가 치밀어몸이 굳는다분노도 절망도 짜내어결국엔 건조한 바다가 된다부질없는 저항의 시간을 보내며그렇게 기름기를 온통 빼고도저 반짝거리는 최후의 형해(形骸)는차라리 부활의 깃발이리라과메기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우리의 미래가 된다죽음과 주검을 극복하는향기가 된다마르고 뒤틀려도좋은 음식이 되어당신과의 입맞춤약간 비릿하나죽을 때까지의 여운이 되어.홍어가 있듯 과메기도 있다. 개복치는 또 어떤가. 존재를 설정하고 앞과 뒤의 배경을 설명하는 언어로서 과메기는 불세출의 독보적인 명사라고 생각한다. 단순한 음식이 아니다. 최초의, 최후의 물건이자 명징한 상징이다. 포항의 역동성은 이 짜부러진 생선의 소리 없는 아우성에서 시작된 듯하다./이우근 이우근 포항고와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문학선’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해 시집으로 ‘개떡 같아도 찰떡처럼’, ‘빛 바른 외곽’이 있다.박계현 포항고와 경북대 미술학과를 졸업했으며 개인전 10회를 비롯해 다수의 단체전과 초대전, 기획전,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여했다. 현재 한국미술협회 회원이다.

2024-08-07

포항에 가면 심장이 먼저 나부낀다

포항에 가면펄럭이는 것은 깃발만이 아니다포항에 가면 심장이 먼저 나부낀다죽도시장 흐릿한 백열등 아래서돈보다 많은 삶의 가치를 얻어먹었다송도에 가면 그리움이 너무 넘쳐서태평양을 향해 코를 풀었다갈매기가 톡톡 찍어주던 느낌표아직 눈썹에 남아 있다포항역 육교에서 보랏빛 칸델라 불빛을 보며이별도 배웠다기차는 떠나도 사람은 남는다포항에 가면추억이 너무 많아서 몸살을 앓는다첫사랑 기다리던 골목길에서껄렁하게 앉아도 보았지코피 흘리지 않아도 되는 인생공부돌아오지 않을 시간의 강을 건넜지만포항에 가면객지의 설움이 설탕이 된다포항에 가면사람이 된다.비록 포항을 떠나 살고 있지만 항상 포항은 심장의 안쪽에 또아리를 틀고 앉아서 자가발전의 원동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나에겐 항상 고고(高高)하고 고고(孤孤)하다. 보수적이지만 당돌하다. 골목길 끝에서 돌을 던지고 도망가는 계집애 같은 심성이 늘 팔팔하게 살아 있다. 동해바다가 그 배경이리라. /이우근 이우근 포항고와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문학선’으로 작품활동을 시작해 시집으로 ‘개떡 같아도 찰떡처럼’, ‘빛 바른 외곽’이 있다.박계현 포항고와 경북대 미술학과를 졸업했으며 개인전 10회를 비롯해 다수의 단체전과 초대전, 기획전, 국내외 아트페어에 참여했다. 현재 한국미술협회 회원이다.

2024-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