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여성 기록문학, 국제목록 등재 절차 본격 착수 생활 속 기록에서 세계유산 후보로… 여성 서사의 힘 재조명
여성의 삶과 감정을 한글로 기록한 전통 가사문학 ‘내방가사’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를 위한 국내 후보로 선정됐다.
2022년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 등재에 이어 세계 무대 등재를 공식 추진하며 기록유산의 국제적 위상을 한 단계 더 확장할지 관심이 모인다.
24일 안동시에 따르면 국립한글박물관과 한국국학진흥원이 공동으로 추진한 ‘내방가사’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 등재 신청은 국내 심의를 통과하며 국제 등재 절차에 본격 돌입했다.
등재 신청에는 총 567점의 기록물이 제출됐으며 그중 한국국학진흥원이 기탁받아 관리 중인 292점, 국립한글박물관 소장본 226점이 중심을 이룬다. 이외에도 국립중앙도서관, 경북대 도서관, 단국대 율곡기념도서관, 한국가사문학관, 예천박물관 등 7개 기관의 자료 49점이 참여했다.
내방가사는 조선 후기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들이 생활공간인 ‘내방’에서 한글로 지은 가사문학으로, 일상과 가족사뿐 아니라 제국주의 침탈·국권 상실·해방·전쟁 등 시대의 격변을 여성의 관점에서 기록한 점이 특징이다. 전체 작품의 약 80%가 격동기 창작이라는 사실은 여성들의 집단적 기록 활동이 얼마나 활발했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안동에 위치한 한국국학진흥원은 내방가사의 주요 생산지인 영남 북부 지역의 역사적 배경과 맞물려 자료 수집·보존·연구의 핵심 기관으로 평가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내방가사는 여성의 일상과 사회 인식을 담아낸 문화유산이자 안동의 자긍심을 보여주는 기록”이라며 “등재 추진을 계기로 여성 기록문화의 가치를 세계로 확장하고 문화·관광 분야의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최종 등재 여부는 2027년 상반기 프랑스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다.
안동시는 앞서 ‘유교책판’을 세계기록유산 국제목록에, ‘한국의 편액’과 ‘만인소’, ‘내방가사’를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에 등재시킨 경험이 있어 이번 결과가 더욱 주목된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