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저속 노화시대 새로운 노인의 지평을 열다

등록일 2025-11-24 08:40 게재일 2025-11-24 12면
스크랩버튼
용학도서관 2025년 신노인(新老人)포럼
Second alt text
‘2025 신노인 포럼’ 포스터.

대구 수성문화재단 용학도서관이 오는 25일부터 12월 23일까지 총 5회에 걸쳐 지역의 중·장년층과 고령층을 대상으로 ‘2025 신노인 포럼’을 운영한다. 

인생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의 세대에게 노년은 더 이상 소극적 생애 단계가 아니다. 어떻게 늙을 것인가, 어떻게 활력 있는 후반생을 설계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된 지금, 이번 포럼은 그 물음에 실천적 해답을 제시하는 의미 있는 기획으로 진행된다.

올해 ‘신노인 포럼’이 ‘저속노화’를 핵심 주제로 삼은 것은 시의적절하다. 의학·뇌과학·AI 헬스케어, 슬로우푸드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강연을 통해 노화를 단순히 ‘늦추는 기술’이 아니라 ‘삶의 질을 가꾸는 지혜’로 바라보게 하는 자리가 마련되는 것이다.

박상철 전남대학교 연구 석좌 교수의 ‘웰에이징, 노화를 디자인하다’를 시작으로, 권순용 교수의 ‘AI 스마트 의료시대’, 김희진 교수의 ‘느리게 나이 드는 기억력의 비밀’, 이덕철 교수의 ‘세포가 보내는 노화의 신호’, 신경원 소장의 ‘식치의 지혜로 만나는 저속노화’로 구성된 강연은 과학적 통찰과 삶의 철학을 함께 풀어낼 예정이다.

이번 ‘신노인 포럼’의 의미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선다. 노화를 불가피한 쇠퇴의 과정으로 보던 기존의 관점을 뛰어넘어, 더디게 늙으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디자인하려는 사회 인식의 전환이 그 중심에 있다. 지금 우리의 노년은 선택의 영역에 있다. 빠르게 늙는 사회가 아니라, 지혜롭게 늙는 사회로. 용학도서관의 ‘신노인 포럼’은 그 첫걸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번 포럼은 단순한 강의 프로그램을 넘어, 지역사회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현실 속에서 시민 스스로 자신의 노년을 능동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공공교육의 장으로 의미가 있다.

용학도서관 관계자가 밝혔듯, 이는 지식 전달에 머물지 않고 주민의 삶의 방향성을 함께 모색하는 진정한 평생교육의 역할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한 교육이 아니라, 인생 후반부를 풍요와 존엄으로 채우려는 지역 사회적 문화운동이라 할 만하다.

이번 포럼은 50대 이상 지역 주민 120명을 대상으로 운영된다. 수강 신청은 이달 19일부터 마감시까지 용학도서관 홈페이지 또는 도서관을 방문해 가능하다. 

빠르게 다가오는 초고령 사회의 흐름 속에서, 삶의 후반기를 스스로 주도적으로 설계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번 프로그램은 그 출발점이 될 것이다. 문의 전화 (053)668-1722. 

/김윤숙 시민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