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시간과 기억을 걷다 조문국에서 현대의 숨결까지

최병일 기자
등록일 2025-11-24 19:10 게재일 2025-11-25 16면
스크랩버튼
경북 학습여행지 일번지 의성 조문국 배움 여행

경북에는 온 가족이 떠나서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올 수 있는 학습 여행지가 곳곳에 산재해 있다. 삼한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곳에서 대중문화의 자취를 따라갈 수 있는 곳까지 콘텐츠가 다양하다. 여행도 하고 학습도 할 수 있는 일거양득 여행지로 배움여행을 떠나보자.

△ 조문국, 잊힌 왕국의 흔적이 남긴 풍경

꽃이 핀 조문국 사적지 _의성군 제공 

우리가 익히 아는 고구려·백제·신라 이전의 풍경은 종종 상상 속에 갇힌다. 그러나 의성의 금성산(金成山) 아래에는 ‘조문국’이라는 이름으로 남은 실체가 있다. 조문국은 삼한 시대 진한·마한·변한의 맥락 안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일궜고, 그 흔적으로 370기 이상의 고분이 금성산 고분군에 분포한다. 이 거대한 흙무덤들은 단순한 유적이 아니라, 지역권력의 위상과 교통·군사 전략을 말해준다.

조문국이 자리한 금성면 일대는 북쪽으로 진출하는 길목이자 당시 번성한 경주와 가깝다는 점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그 결과 대형 고총(高塚)들이 밀집했고, 1호 고분으로 불리는 ‘경덕왕릉’처럼 이름이 전해지는 무덤도 있다. 이런 고분들은 고대 지역사회의 조직력과 장례·권력 문화를 가늠하게 하는 단서다.

역사교육여행지로도 이름이 높은 조문국 유적지_의성군 제공

현장을 걷다 보면, 고분군이 단지 ‘옛것’으로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바로 느낀다. 낮게 드리운 언덕과 완만한 능선, 봄의 작약·가을의 핑크뮬리(분홍쥐꼬리새)가 그 공간을 덮으면, 잊힌 왕국의 풍요와 시간의 겹이 겹쳐지는 순간을 맞는다. 지역민들은 이곳을 산책로, 포토 스팟, 때로는 웨딩촬영지로도 즐긴다. 

조문국 사적지 항공사진_의성군 제공 

조문국은 사계절 언제들러도 좋다. 5월은 작약이 언덕을 물들이는 시기로 풍경 관람과 사진 촬영에 최적. 지역에서는 작약 관련 소규모 나들이 행사도 열린다.   
핑크뮬리와 국화가 어울리진 가을에는 운치 있는 산책을 즐기기 좋다. 얼음골의 특이한 자연현상(빙혈·풍혈) 관찰이 가능한 겨울에는 빙계서원에서 고즈넉한 학습 시간을 갖기도 좋다.  

△ 고분과 유물을 잇는 현대의 기록 조문국 박물관

 

의성조문국박물관_의성군 제공

의성조문국박물관은 조문국의 흔적을 모으고 해석해온 중심지다. 2013년 문을 연 이 박물관은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상설전시와 기획전, 어린이 체험까지 포괄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관람시간은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입장마감 17:00)이며, 매주 월요일·명절 등은 휴관이다. 관람료는 무료로 운영되어 누구나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조문국 박물관 상상놀이터 

박물관의 전시품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대리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동관모(5세기 후반 추정)다. 장식 봉(飾)은 조문국의 독자적 생활·의례 문화를 가늠하게 하는 중요한 자료다. 1층에는 어린이들이 직접 ‘발굴’과 ‘복원’을 체험해 보는 어린이고고발굴체험관이 있어 교육적 효과가 크다. 박물관 옥상정원에 서면 금성산 고분군 전경이 한눈에 들어와 ‘현장’과 ‘기록’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조문국을 재조명하는 일은 단순한 유적 정비를 넘어 지역 정체성과 교육자원의 재발견이다. 최근 발굴성과가 전시로 이어지고, 박물관이 주민 평생교육과 관광을 잇는 복합공간으로 기능하면서 조문국은 ‘살아 있는 역사’로 재탄생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인구·경제 문제와도 맞닿아 있다. 문화유산을 통해 방문객을 모으고, 지역 특산물과 결합한 체험형 관광을 확장하는 전략은 지방 소도시의 지속가능한 모델이 될 수 있다.  

조문국박물관 상설전시실_의성군 제공 

최근 박물관은 도심과 철도 개발 과정에서 진행된 발굴성과를 바탕으로 한 대형 기획전을 잇따라 선보였다. 2024년 말부터 2025년 5월 11일까지 열린 특별기획전은 ‘시간을 넘어 역사를 만나다’라는 주제로, 탑리리와 산운리 일대 발굴 성과를 정리·전시했다. 초기철기시대의 생활과 청동기·철기시대 유물 등 600여 점이 공개되며 조문국과 인근 지역의 고고학적 가치를 새롭게 확인시켰다. 2025년에는 황금빛 매혹, 신라 장신구 전이 열려 신라 금세공의 정수와 미감을 조명했다. 

박물관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중이다. 주말에는 전시해설과 함께하는 그림자 놀이가 이어지고 특별기획전으로 ‘이렇게 멋진 날, 이수지의 그림책’이 내년 1월 25일까지 운영된다. 

△ 빙계리 얼음골과 의성빙산사지 오층석탁도 눈길 

탑리리 오측석탑 _의성군 제공 

시간여행을 즐길 만한 다른 유적도 있다.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천연기념물 373호)는 약 1억1500만년 전 중생대 백악기 공룡 발자국 화석 4종 316개가 있는 곳이다. 크기가 다양한 초식 공룡과 육식 공룡 발자국이 동시에 발견돼 공룡 서식지로 추정한다.

 

통일신라 때 세운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77호)도 가까이 있다. 높이 9.56m에 폭 4.51m로, 전탑 양식과 목조건축 수법을 동시에 보여준다.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다음으로 오래된 석탑이다. 탑리리는 시간이 멈춘 듯한 분위기가 풍겨 한 바퀴 둘러볼 만하다.

 

 

빙계계곡 전경 _의성군 제공 

의성 빙계리 얼음골(천연기념물 527호)을 빠뜨리면 서운하다. 경치가 수려한 곳으로, 여름에 얼음이 얼고 겨울에 김이 솟는다는 빙혈과 풍혈이 있다. 빙혈 근처에 탑리리 오층석탑을 본뜬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보물 327호)이 자리한다. 초록의 푸르름 속에 석탑의 기품이 빛난다. 얼음골 입구에 인재 교육의 중심이던 빙계서원도 있다. 고즈넉한 산 아래 앉아 시원한 물소리를 들으며 한적하게 선조의 멋을 되새기기 좋다.

/최병일기자 skycbi@kbmaeil.com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