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복구·저출생 대응·미래 신산업 투자 확대… 사회복지 예산 4617억 원 최고 비중
안동시는 2026년도 본예산을 1조 6640억 원으로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올해보다 582억 원이 늘어난 규모로, 시는 이를 산불 피해 복구와 지역경제 회복, 미래 신산업 육성을 동시에 추진할 ‘재도약의 골든타임’ 예산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예산안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대형 산불 이후의 회복력 강화다. 시는 재정안정화기금을 적극 투입해 임하면 추목·중마지구 마을 단위 복구재생(64억 원)과 산불 피해 복구조림(70억 원) 등 본격적인 항구 복구 작업을 예산에 담았다.
저출생 대응과 보육환경 개선도 크게 확대한 분야다. 영유아 보육료(158억 원), 아동수당(90억 원), 아이돌봄 지원(65억 원) 등 기본 사업 외에, 보육교사 대 아동비율 축소 사업을 1세까지 확대해 28억 원을 신규 편성했다. 지방소멸대응기금 72억 원도 포함됐다.
시가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미래 신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힘을 실었다. K-U시티 프로젝트에 108억 원, 공공형 지식산업센터에 68억 원,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구축에 20억 원이 반영됐다. 안동 바이오·백신 산업 육성과 도시혁신 정책을 본격 궤도에 올리기 위한 기반 투자다.
안동시는 침체된 지역 상권에 실질적인 회복 효과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을 촘촘하게 구성했다. 안동사랑상품권 할인 보전금 100억 원을 비롯해 소상공인 특례보증 및 이차보전금 34억 원, 중소기업 운전자금 이차보전금 16억 원 등을 배정해 체감 가능한 지원을 강화했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문화도시 조성(80억 원), 제64회 경북도민체전 개최(72억 원), 고산서원 주변 관광자원 개발(34억 원) 등을 반영해 체류형 관광 기반을 확충했다. 정원도시 조성을 위한 금소지방정원(30억 원), 낙동공원(30억 원), 기후대응 도시숲(10억 원) 등 자연친화형 도시 전략도 예산안에 포함됐다.
분야별 예산 비중을 보면 사회복지 분야가 4617억 원(30.6%)으로 가장 크다. 기초연금 1336억 원, 생계급여 549억 원, 노인일자리 228억 원 등이 포함되며 전년보다 407억 원 증가했다. 농업 분야는 2268억 원(15.0%)으로, 농작물 재해보험(115억 원)과 농어민수당(102억 원)이 핵심을 이룬다. 이어 문화·관광 1565억 원(10.4%), 국토·지역개발 1094억 원(7.2%), 산업·중소기업 852억 원(5.6%), 환경 806억 원(5.3%), 교통·물류 705억 원(4.7%) 순으로 배분됐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재정을 마중물 삼아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지역의 회복과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했다”며 “민생 안정과 지역 활력 회복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