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5 추월 성능···AI 에이전트·기업용 개발 플랫폼도 동시 공개
구글이 차세대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Gemini) 3’를 공식 출시하고, 공개와 동시에 자사 핵심 서비스인 검색엔진에 즉각 적용했다. 주요 빅테크 기업 중 신형 AI 모델을 출시 첫날부터 검색서비스에 전면 배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경쟁이 ‘모델 성능 과시’에서 ‘실제 서비스·수익화 성과’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구글이 정면 승부에 나선 것으로 평가된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는 18일(현지시간) “제미나이3는 지금까지 개발한 모델 가운데 가장 강력한 기능을 갖춘 모델”이라며 “검색엔진에 출시 첫날부터 직접 적용한 첫 사례”라고 밝혔다.
그동안 구글은 검색 광고 매출을 해칠 수 있다는 이유로 검색 서비스에 AI 적용을 서두르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전략을 전면 수정했다. 이용자는 검색창에서 ‘AI 모드’로 전환해 제미나이3 기반 응답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첫 적용 국가는 미국이며, 한국을 포함한 해외 시장에는 순차 확대될 예정이다.
해외 언론들은 “AI 개발 경쟁의 중심이 모델 성능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응용 기술 쪽으로 이동했다”며 “구글은 이번 모델을 소비자·기업용 주요 서비스에 공개 즉시 탑재해 상용화 속도를 높였다”고 분석했다.
구글은 “과학·수학 등 고난도 문제 해결에서 신뢰도가 크게 향상됐다”며 모델의 논리·추론 능력을 강조했다.
제미나이3는 코딩·추론 성능이 대폭 개선됐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기업용 신규 기능이 대거 구현됐다.
구글은 이메일 정리, 여행 일정 예약 등 복잡한 다단계 업무를 AI가 완전 자동으로 수행하는 ‘제미나이 에이전트(Gemini Agent)’를 도입했다. 이는 데미스 하사비스 AI 총괄이 그려온 ‘범용 AI 비서(Universal Assistant)’ 비전의 핵심 단계다.
기업 고객용 도구도 강화됐다. 구글은 AI가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부터 코드 실행까지 자동 수행하는 플랫폼 ‘안티그래비티(Antigravity)’를 함께 공개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를 “기술 자체의 성능보다 기업 생산성 향상으로 경쟁 구도가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구글은 이번 발표에서 경쟁사 견제도 숨기지 않았다. 최근 ‘아부성 발언’ 논란이 있었던 오픈AI를 겨냥해 “제미나이3는 아부성 응답을 줄였다”고 강조했다.
또한 출시 발표 시점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연례 개발자 행사 ‘이그나이트 2025’와 겹쳐 시장에서는 “구글이 의도적으로 발표 일정을 당긴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제미나이3의 출시가 임박했다는 관측은 며칠 전부터 온라인 예측시장 폴리마켓에서 회자되며 투자 수요가 몰리는 등 기대감이 이미 높아진 상태였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