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기차 보급이 사상 처음 연간 20만대를 넘어섰다. 보급사업 조기 시행과 제조사의 신차 출시가 맞물리며 전기차 시장이 본격적인 대중화 단계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25년 11월 13일 기준 전기차 신규 보급대수가 20만1000대를 기록해 역대 최다를 달성했다고 16일 밝혔다. 2022년(16만4000대) 기록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전기차 보급사업이 시작된 2011년 이후 10년 만인 2021년에 연간 10만대를 넘겼고, 다시 4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확산 속도가 가파르게 빨라진 모습이다.
△ 승용 17만2천대···화물차는 국산 비중 93%
차종별로는 전기승용차가 17만2000대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기화물은 2만6000대, 전기승합은 2400대가 신규 등록됐다.
국산차 비중은 승용 55%, 승합 64%, 화물 93%로, 특히 전기화물차는 압도적인 국산 우위를 보였다.
전기버스(승합)의 국산 비중은 2023년 46%까지 떨어졌지만 최근 2년간 63~64% 수준으로 회복한 점도 주목된다.
△ 전기·수소차 누적 95만대···“내년 초 100만대 돌파”
전기차와 수소차를 합한 무공해차 누적 등록대수는 95만대에 이르렀다. 특히 수소차는 올해 들어 보급이 다시 늘어 5900대(11월 13일 기준)가 신규 등록됐다. 이 속도면 내년 초 누적 100만대 돌파가 확실시된다는 게 정부 설명이다.
△ 보급 확대 배경은 조기 사업 시행·신차 효과·충전 인프라 고도화
정부는 보급 확대의 주요 요인으로 △연초 보조금 지침 확정에 따른 사업 조기 시행 △제조사의 신차 효과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을 꼽았다. 전국 급속충전기는 누적 5만2000기, 완속충전기는 42만기(10월 기준)로 매년 크게 늘고 있다. 완속충전기 수는 2020년 대비 약 8배 증가했다.
한편 주요 전기차 모델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2011년 ‘블루온’ 140km △2016년 ‘아이오닉 AE’ 190km △2018년 ‘니로 EV’ 385km △2025년 ‘EV4’ 550km까지 개선돼 소비자 선택폭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 보조금 체계 고도화···“성능·가격 경쟁력 기준 강화”
정부는 전기차 초기 보급기(2011~2020년)부터 구축해온 보조금 체계를 기술 성능·가격 경쟁 중심으로 지속 개편해왔다. 특히 성능 대비 가격이 우수한 차종에 더 많은 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소비자 선택을 유도했고, 기업들도 이에 맞춰 고성능·보급형 라인업을 동시에 확대하고 있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전기차 보급이 올해 큰 폭으로 늘면서 탈탄소 전환의 동력을 확보했다”며 “2030년 신차 보급의 40% 이상, 2035년 70% 이상을 전기·수소차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한 대수 확대를 넘어 산업 경쟁력 강화와 일자리 창출까지 이어지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홍기자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