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영일만대로, 이제 고속국도로 격상돼야 할 시점이 됐다‘

임창희 기자
등록일 2025-11-05 15:45 게재일 2025-11-06 5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임창희 선임기자

오는 11월 7일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포항의 교통 지도가 새롭게 그려진다. 부산·울산·대구 등 남부 산업벨트의 교통망이 포항을 거쳐 영덕, 강릉으로 이어지게 되면서  동해안을 따라 U자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인 국가 도로망도 어느 정도 완성 단계에 접어드는 것이다. 

이제 남은 건 영일만대교다. 하지만 이 사업은 현재 노선조차 확정치 못해 언제 완공될지도 불투명하다. 그때까지는 영일만대교의 역할을 ‘영일만대로’가 해야 한다. 포항 동해면에서 영일만항까지 가로지르는 이 도로는 울산과 부산·영덕 방향으로 가거나 대구 방향으로 진출입할 때 이용해야 해 U자형 도로 체계에서는 중심축이 될 수밖에 없다. 이미 지금까지 고속도로 수준의 차량 흐름을 감당해 왔다. 

그러나 영일만대로의 관리 체계와 시설 수준은 일반인들의 생각과는 동떨어져 있다. 아직 일반국지도와 시도에 머물러 있는 것이 그 단적인 예다. 영덕~포항 간 고속도로 개통 이후 영일만대로에는 교통량과 물류 수요의 폭증이 예상되나 과연 이를 감당해 낼 수 있을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벌써부터 나온다. 교통분야 전문가들은 이제 영일만대로는 ‘고속국도’로 승격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더 이상 논의가 아닌 실행의 문제라고 지적한다. 고속도로 처럼 사용되면서도 관리체계는 시·도 수준에 묶어 놓아서는 곤란하다는 것이다.

포항시는 그동안 여러 차례 이 문제 해결을 시도했다. 영일만대로의 고속국도 승격을 정부에 꾸준히 요청하며 협의했음에도 아직 성사시키지 못했다. 그런 관계로 교통안전, 도로 포장, 조명, 방음벽, 제설 등 유지관리 전반에서 한계가 있다고 토로한다. 

 

영일만대로의 모순은 이원화된 관리 체계에서도 드러난다. 이 도로는 동해면에서 흥해읍 소티재까지는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관리청이, 소티재에서 영일만항 구간은 포항시가 각각 관리하고 있다. 도로 하나에 두 기관이 걸쳐 있는 셈이다. 이로 인해 예산 배정부터 공사 발주, 시설물 교체에 이르기까지 행정 절차는 복잡하고 민원 처리 속도는 느리다. 실제로 일부 구간의 도로 포장 불균형과 방음벽 미설치는 ‘관리청 간의 협의 부재’라는 이유로 수년째 방치돼 있다. 도로가 하나의 체계로 운영되지 않은 결과는 책임 불분명과도 연결되고 이용자들은 불편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단일 관리기관을 통한 통합 운영이 절실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영일만대로가 한국도로공사에서 관리하는 고속국도로 전환돼 통합관리 될 경우 예산확보 등이 원활해져 교통 체계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유지보수 기준은 고속도로 수준으로 상향되고, 사고 대응은 물론 도로정보 서비스 등이 통합되면서 대시민 서비스 개선이 예상된다. 나아가 도심과 항만, 공단을 잇는 물류 흐름이 빨라져 포항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다. 또 영일만항을 기점으로 해상 물류와 육상 운송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포항이 환동해 물류 중심지로의 기능과 역할을 더 다질 수도 있다.

포항은 포항~영덕 간 고속도로 개통이라는 환경 변화가 생긴 만큼 교통체계를 다시 다듬을 때가 됐다. 특히 일반국지도인 영일만대로의 고속국도 승격은 매우 시급하다. 영일만대교의 역할을 영일만대로가 할 것이기 때문에 논리도 충분하다.

포항시와 지역 국회의원, 지방의회가 한목소리로 영일만대로의 고속국도 승격과 관리 일원화를 정부에 강력히 요청해야 한다. 정부도 이 사안이 단순히 지방도로의 국도 승격 문제가 아니라 환동해 경제권 확장과 국토 균형발전 전략의 핵심 인프라 구축 문제로 봐야 한다. 

/lch8601@kbmaeil.com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