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주, APEC 성공 개최로 세계 무대에 우뚝

황성호 기자
등록일 2025-11-04 11:28 게재일 2025-11-05 10면
스크랩버튼
21개국 정상 참석, 경제 파급 효과 7조 4000억 원
주낙영 경주시장이 지난 29일 경주 엑스포 대공원 APEC 경제전시관에서 열린 Invest Korea Summit 2025 현장 투자설명회를 하고 있다. /경주시 제공

천년고도 경주가 2025 APEC 정상회의를 통해 세계의 중심으로 다시 자리매김했다. 

 

지난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열린 2025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경주는 문화와 기술, 시민이 함께 만든 ‘참여형 국제행사’의 새로운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지속 가능한 내일(Building a Sustainable Tomorrow)’을 주제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21개 회원국 정상과 경제인, 언론인 등 2만여 명이 참석해 신라 천년의 도시를 주목했다.
 
경주시는 2021년 7월 APEC 유치 선언 이후 3년간 범시민 유치운동을 펼치며 ‘모두가 주인공인 국제행사’를 준비했다. 

시민 14만 명 이상이 서명운동에 참여하고, 크고 작은 지지 퍼포먼스 500여 회가 이어졌다. 

깨끗한 거리와 질서 있는 교통, 밝은 미소로 손님을 맞이한 시민들의 헌신은 이번 행사를 가장 품격 있는 국제회의로 만들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행정이 아닌 시민이 완성한 기적이었다”면서 “시민이 거리의 주인이 되어 손님을 맞이한 덕분에 경주는 세계가 기억할 도시가 됐다”라고 말했다.
 
이번 APEC은 경주의 도시환경과 관광인프라를 획기적으로 바꿔놓았다. 

보문단지와 시가지 일대는 회의장·숙박시설·조명·공원 등 전면 정비됐고, 첨성대와 대릉원은 미디어아트와 홀로그램으로 재탄생했다. 

황남빵, 곤달비나물, 천년한우 등 지역 식재료는 정상 만찬 메뉴에 오르며 ‘가장 한국적인 도시’의 품격을 높였다. 

신라의 정신이 깃든 문화유산에 첨단기술을 입힌 ‘K-APEC 경주 모델’은 세계 각국 언론의 찬사를 받았다.
 
경제적 성과도 뚜렷하다.  대한상공회의소 분석에 따르면 이번 APEC 개최로 경제적 파급효과는 약 7조4000억 원, 취업 유발은 2만3000명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 

행사 기간 포함 올해 3분기 외국인 관광객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97만2000명을 기록했다. 

보문단지의 숙박·교통·보행환경 개선과 더불어 시가지와 사적지가 생태문화 공간으로 거듭나며, 경주는 명실상부한 국제회의도시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다.
 
경주시는 이제 ‘포스트 APEC’ 시대를 준비한다.  시는 1본부 3과 규모의 ‘포스트 APEC 추진본부’를 신설하고, 전략기획·미래산업·디지털 정책 등 3대 전담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세계 경주포럼 정례화 △APEC 문화의 전당 조성 △AI 새마을운동 △보문단지 대(大) 노 베이련 △신라통일 평화공원 조성 등 ‘10대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신라의 유산은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미래의 자산”이라며 “APEC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경주는 과거의 도시가 아니라 미래를 준비하는 도시로 거듭났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시민이 있다”라고 말했다.
 
/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동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