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 APEC 공식 부대행사서 AI·디지털자산 결합 논의… 미래 금융 질서 변화 조명
디지털자산이 단순한 투자 수단을 넘어 글로벌 금융 신뢰 체계를 재설계할 기술적 기반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시됐다.
국내 디지털자산 기업 두나무는 30일 경주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2025 APEC CEO 서밋’ 공식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디지털자산(Future Tech Forum: Digital Asset)’을 통해 관련 논의를 이끌었다.
이번 포럼에서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자산의 결합이 가져올 금융 생태계 변화와 제도화 방향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참석자들은 스테이블코인과 토큰화를 중심으로 기술 혁신과 규제의 균형, 금융 접근성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마이클 케이시 MIT 미디어랩 수석고문은 “AI와 프로그래머블 화폐의 결합은 글로벌 금융 시스템의 대전환을 예고한다”며 “디지털자산은 단순한 거래 수단이 아니라 사회 전반의 신뢰 구조를 재설계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디지털자산은 기술과 금융, 시장과 사람을 잇는 연결의 혁신”이라며 “이번 포럼이 미래 금융 질서를 함께 설계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패널토론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국제 활용과 규제 방향이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패널들은 스테이블코인이 국가 간 송금과 결제 과정의 신뢰를 높이고, 금융 인프라 혁신의 기반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아시아개발은행(ADB)과 AZA파이낸스가 포용금융(Financial Inclusion) 사례를 공유했다. 참석자들은 디지털자산이 은행 밖의 사람들을 금융 생태계로 연결하며 경제 참여의 문턱을 낮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주한미국상공회의소의 사회로 두나무, 마스터카드, 아메리칸비트코인 등이 참여했다. 패널들은 금융과 디지털자산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으며, 신뢰와 기술이 결합한 새로운 금융 질서가 형성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