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 CEO 서밋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경제’ 세션 네이버 “AI 데이터센터는 국가 인프라… 세제 혜택·규제 완화 필요” 메타 “속도를 늦출 수 없다… 동맹 기반의 글로벌 협력이 핵심” AWS “AI 에이전트가 산업의 게임체인저… 400억달러 인프라 투자”
세계 주요 IT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인공지능(AI)이 주도할 경제 전환의 해법을 제시했다.
29일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2025 APEC CEO 서밋 ‘AI-Driven Economy(인공지능이 주도하는 경제)’ 세션에서는 네이버, 메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각각 인프라, 협력, 에이전트로 대표되는 AI 혁신 전략을 공유했다.
국내 대표 IT기업 네이버는 AI 생태계의 근간이 되는 인프라 확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AI는 이용자와 창작자, 판매자의 가능성을 확장하는 연결의 기술”이라며 “그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가려면 국가 차원의 AI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따라잡기 위해 “세제 혜택 확대, 행정 절차 간소화, 입지 규제 완화 등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정책적 역할을 강조했다.
메타는 기술 패권보다 협력과 규범 정립을 통한 ‘AI 동맹’의 필요성을 내세웠다.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은 “미국이 AI 기술을 선도하고 있지만, 어느 나라도 속도를 늦출 여유는 없다”고 지적하며, 기술 패권보다 ‘공동의 기준과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WS는 자율적 의사결정과 행동을 수행하는 ‘AI 에이전트’가 산업 전반을 재편할 핵심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맷 가먼 AWS CEO는 “AI 에이전트는 모든 산업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2028년까지 APEC 14개 경제체에 400억 달러를 투자해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AI 에이전트는 결정을 내리고 행동으로 옮기는 존재로, 금융·통신 분야에서 이미 생산성과 거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며 “데이터가 클라우드 인프라 안에서 자유롭게 분석될 때 AI 혁신의 효과가 극대화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는 SK그룹과 협력해 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라며 “AWS 인프라를 기반으로 누구나 비즈니스 혁신에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