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 학교 교사 임용시험 응시자가 최근 4년 새 2만 명 이상 줄고, 교직을 포기하는 사례도 늘고 있어서 걱정이다. 과거 교대와 사범대가 수능 1등급 대여야 합격권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을 느끼게 된다.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유·초·중·고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응시자는 5만8608명으로 집계됐다. 2021년 7만9779명과 비교하면 2만1171명이나 줄어든 규모다. 교대와 사범대 재학생 중에는 임용시험 응시를 포기하고 아예 교단의 길을 접는 사례도 계속 늘고 있다. 전국 10개 교대와 이화여대·제주대·한국교원대 초등교육과 자퇴생 수는 지난해만 경인교대 101명, 서울교대 82명, 전주교대 55명, 공주교대·대구교대 각 47명 등 모두 516명으로 집계됐다.
임용시험 응시자 감소와 자퇴 증가는 ‘교권 침해’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 5월 전국 교원 55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교사 90%가 “저연차 교사의 이탈이 심각하다”고 응답했는데, 첫손에 꼽힌 이유가 교권 침해였다. 재작년 서이초 교사 사망으로 심각성이 드러난 교권 침해의 현실이 교단에서 아직 달라진 게 없다는 것이다.
최근 언론보도를 보면, 교권 침해 행위는 비단 어느 한 학교에서 벌어지는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 학교에서 일상이 되고 있는 듯하다. 문제는 교권 침해 상황이 벌어져도 이를 교사 개인이 극복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로인해 학생과 학부모의 폭언·모욕·수업방해가 만연하지만, 교사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여태까지 정부가 말로만 ‘교권보호’를 외친 것이다. 이러고도 교육이 국가 백년대계라는 말을 할 수 있겠는가.
교사 임용시험 응시자 감소와 교대생 자퇴 증가는 결국 교육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젊은 교사들이 자긍심을 가지고 교단에 설 수 있도록 하려면 지금부터라도 정부·정치권·사회 모두가 한마음이 돼 무너진 교권 확립과 교사 처우개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