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은 가을의 저녁이라는 말로 가을이 저문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농경사회인 우리나라에서 곡식 수확이 완료되는 시점을 의미한다.
한해 농사를 수확하기 직전으로 물심양면에서 가장 풍족을 느끼는 시기다. 음력 1월 1일 설날과 음력 5월 5일 단오날 그리고 추석을 우리나라 3대 명절로 손꼽는다.
조선 후기 학자 김매순이 한양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열양세시기’를 보면 추석에 대한 당시 관념을 알 수 있게 하는 대목이 있다.
“민간에서는 이 날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아무리 가난한 벽촌의 집안에서도 모두 쌀로 술을 빚고 닭을 잡아 찬도 만들고 또 온갖 과일을 풍성하게 차려 놓는다”고 했다. 그래서 말하기를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같기만 바란다”고 써 있다.
어느 명절이든 기쁘지 않을 날이 있겠냐 만은 추석은 명절 중에 꽃이라 할만하다. 이름도 추석, 한가위, 중추절, 중추가절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특히 갓 생산한 재료들로 음식을 만드니 그 맛이 특별하다. 햅쌀로 빚은 밥과 송편은 유난히 윤기가 흐르고 맛이 좋다. 민속놀이를 하더라도 선선한 날씨 덕에 마음도 한층 여유롭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는 우리 속담은 추석처럼 풍요롭고 즐거운 상태가 일년 내내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에서 나온 표현이다. 추석은 그야말로 풍요와 행복의 상징이다.
명절을 지키는 전통 풍속이 예전만 못하나 그래도 명절에는 부모 형제가 있는 고향으로 온 가족이 모여 명절의 기쁨을 나눈다. 경제가 좋거나 나쁘거나 상관없이 가족과의 만남만으로 행복함을 느끼는 것이 바로 명절의 의미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가정마다 웃음 꽃이 함빡 피었으면 좋겠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