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는 시간은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생활 습관이 되었다. 그러나 고개를 숙이고 작은 화면을 오랫동안 바라보는 자세는 목과 어깨에 큰 부담을 준다. 목뼈가 앞으로 밀려 일자목이 되고 어깨는 안쪽으로 말리면서 척추의 균형이 서서히 무너진다.
단순히 목이 뻐근하고 어깨가 뭉치는 걸로 시작해 시간이 지나면서 두통, 어지럼, 안구 피로, 손저림, 집중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이 뒤따른다. 몸이 한쪽으로 틀어지면 다른 부위가 이를 보상하려고 힘을 쓰게 되고 결국 등과 허리 골반까지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이처럼 틀어진 자세와 불균형에서 비롯된 불편함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추나 치료다. 추나는 단순히 뼈를 교정한다는 개념보다 틀어져서 긴장된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고 막힌 흐름을 열어주는 치료에 가깝다. 목과 어깨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면 그 주변의 신경이 눌리고 혈액순환이 정체된다. 추나로 이런 압박을 완화시키고 순환을 회복시켜 주면 답답했던 목은 시원해지고 어깨는 한결 가벼워진다. 신경 눌림이 줄면서 손끝의 저림이 줄고 차갑던 손발에 따뜻함이 돌기도 한다. 단순한 통증 완화를 넘어 틀어짐 때문에 생긴 온갖 불편을 덜어내는 과정이 되는 것이다.
현대인에게 흔한 거북목이나 일자목은 대표적인 구조의 변화다. 목의 구조가 틀어지면 머리 무게를 견디기 위해 어깨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고 이 긴장은 다시 등과 허리에 부담을 준다. 실제로 목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 상당수는 허리와 골반까지 함께 치료해야 증상이 개선된다. 한 부위의 불편함이 다른 부위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추나는 이러한 연관성을 함께 고려하여 목과 어깨뿐 아니라 몸 전체의 균형을 다루기 때문에 근본적인 불편함 해소가 가능하다.
추나 치료를 받은 뒤 환자들이 가장 먼저 이야기하는 것은 몸이 가벼워졌다는 느낌이다. 오랫동안 눌려 있던 긴장이 풀리면서 머리가 맑아지고 집중이 잘 되며 오래 앉아 있어도 예전처럼 아픈 것이 덜하다고 한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개운함이 다르고 밤에 누웠을 때 호흡이 편해지는 변화도 자주 경험한다. 추나는 통증 그 자체만이 아니라 틀어진 구조가 만들어낸 생활 속 불편함을 해소하는 데 큰 장점을 가진다. 물론 한번 틀어진 자세가 하루아침에 바뀌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을 오래 쓰거나 구부정한 자세를 반복하면 같은 문제가 다시 생길 수 있다. 그러나 그때마다 추나로 쌓인 긴장을 풀어내고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며 흐름을 회복한다면 불편함은 훨씬 덜해지고 몸은 점점 편안해진다. 치료가 생활 속에 이어질 때 통증으로 움츠렸던 몸이 다시 숨을 쉬게 된다.
목과 어깨 통증은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내 몸이 틀어져 힘들어한다는 신호다. 이 신호를 무시하면 작은 뻐근함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지고 일상의 활력까지 빼앗아 가게 된다. 추나는 바로 그 신호에 귀 기울여 몸을 풀어주고 불편함을 덜어내어 삶의 질을 회복하게 만드는 든든한 방법이다. 스마트폰 생활이 필수가 된 현대인에게 추나는 단순한 치료를 넘어 몸이 다시 균형을 되찾고 편안함을 회복할 수 있는 길이 되어준다.
/박용호 포항참사랑송광한의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