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도로·교차로 빼곡 ‘눈살’ 시장 출마예상자마다 100~500장 발주… 시내 3000여장 추산 내구성 높은 합성섬유 재질 수천장 소각 처리땐 유해물질 배출 대부분 현행 법규 위반… 전북 남원 지정게시판에만 걸어 대조
추석을 앞두고 포항 시내 주요 도로와 교차로가 정치 현수막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포항시 북구 육거리, 죽도시장 네거리, 남구 효자네거리 등 도심의 요충지는 물론 시가지 구석구석이 28일 기준으로 내년 지방선거 시장 출마예상자들의 현수막들로 빼곡히 들어찼다.
이들 현수막 문구는 일단 ‘한가위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명절 인사로 채워져 있다. 하지만 면면을 살펴보면 대부분 메시지 글자 보다 이름과 얼굴이 더 크게 자리해 있다.
시민들은 이를 두고 “명절 분위기를 가장한 사실상의 선거운동”이라고 눈살을 찌푸린다. 택시기사 이모씨는 “육거리 등에는 신호등 보다 정치인 얼굴이 더 잘 보인다”며 혀를 찼다. 죽도시장에서 만난 한 상인도 “이번 추석을 앞두고 유독 정치현수막이 많이 걸렸다. 그 광경을 볼때면 어지럽기도 해 운전하는데 방해가 된다”고 꼬집었다.
실제 현수막 물량 경쟁은 상상을 초월한다. 시장 출마예상자들은 한 명당 최소 100장, 많게는 500장 이상을 발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년 포항시장 출마예상자가 10여명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시내 일원에 대략 3000여장의 현수막이 내걸렸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정도면 일단 공해수준이라는 것이 안팎의 지적이다.
문제는 이들 현수막이 현행 법규상 불법이라는 것이다. 현행 규정에는 정당에만 가로변 현수막 게시를 허용하고 있다. 국회의원이나 원외지구당 위원장 정도만 가능할 뿐 나머지는 모두 법규를 위반한 것이다.
시장 출마예상자들이 현수막을 걸려면 일반 시민이나 소상공인처럼 시청의 검인 절차를 밟고 제한된 장소에만 설치해야 하나 시청이 단속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서 불법현수막이 판을 치고 있다.
포항과 달리 옥외광고물을 꼼꼼히 관리하는 지자체도 있다. 전북 남원시는 시장은 물론 지역정치인들은 올 추석맞이 인사 현수막을 지정 게시판에만 게시했다. 법규 준수다. 그 결과 거리는 쾌적하게 유지되고, 행정의 일관성에 대한 시민 신뢰 또한 높였다. 지켜보고만 있는 포항의 무기력과는 대비되는 대목이다.
시민들이 불법 현수막을 두고 “정치인에게는 열린 하늘이고, 시민에게는 좁은 문인가”라고 반문하며 불쾌해 하는 이면에는 환경문제도 뒤따른다. 현수막은 내구성을 높인 합성섬유 재질이어서 재활용이 쉽지 않다. 사용 후에는 결국 소각 처리돼 대량의 미세먼지와 유해물질을 배출할 수 밖에 없는데, 지역 환경단체 관계자는 “수천 장 가까운 현수막이 하루아침에 쓰레기가 된다면 그 자체가 환경 재앙”이라며 “정치인들이 친환경, 탄소중립을 말할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날을 세웠다.
환경단체들과 시민단체들은 정치인과 출마예상자들의 현수막 경쟁을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시민사회 활동을 하고 있는 광고홍보학계의 한 교수는 “이들이 내거는 현수막은 홍보 효과도 미미하고, 오히려 정치 혐오를 불러오는 역효과를 낳는다”며 “SNS, 온라인 플랫폼 등 대체 수단이 충분한데도 현수막을 대량 내거는 것은 시대착오적 행태”라고 비판했다.
그는 “거리를 쾌적하게 만드는 것은 결국 시당국의 의지”라고 말했다.
귀성객들의 눈에도 이 풍경은 달갑지 않은 모습이다. 고향을 찾은 한 40대 시민은 “정겨운 거리가 정치인과 출마예상자 이름으로 도배된 걸 보니 불쾌하다”며 “명절을 빌미로 자기 이름을 팔아먹는 정치 쇼에 불과하다”고 언성을 높였다.
한동대학교 A교수는 “정치현수막이 거리를 어지럽히는 것은 정치인의 구태적 발상과 출마예상자들의 조급한 홍보 경쟁, 그리고 이를 막지 못하는 제도의 허점이 맞물려 벌어진 구조적 문제”라면서 정치적 이익을 시민의 불편과 안전 위에 놓는 한 이런 풍경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임창희 선임기자 lch860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