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홍게잡이 어민 “사과·보상 없는 정부, 우릴 실험 삼았다” 반발

단정민 기자 · 이시라 기자
등록일 2025-09-21 15:24 게재일 2025-09-22 3면
스크랩버튼
‘대왕고래’ 구조 1차 시추 정밀 분석 결과 “경제성 없다” 결론 
석유공사, 해외 투자자 입찰 참여한 다른 유망구조 사업 추진 예정 
최대 피해자 홍게 어민들 “2차 시추 강행하면 해상 시위 등 모든 수단 동원”
Second alt text
21일 오후 포항시 남구 구룡포항에 연안 통발어선들이 정박해 있다.

21일 포항시 남구 구룡포항에서 만난 김진만 구룡포연안홍게선주협회 회장(62)은 깊은 탄식과 함께 분노했다. ‘대왕고래’로 알려진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에 대한 1차 시추 결과,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소식 때문이다. 그는 “수개월간 조업도 못 한 데다 어구까지 망가졌지만, 정부는 보상은커녕 사과 한마디 없었다”라면서 “우리를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만선호 선주 이원진 대표도 “정부가 어민을 철저히 무시하고 기만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지난해 탐사·시추 과정에서 어민들이 설치한 부이까지 모두 파손하는 등 어장을 쑥대밭으로 만들어 놓고도 헛수고로 밝혀진 자체가 황당하다”라면서 “정부 사업이라고 순순히 바다를 내준 어민의 잘못이 크다”고 자책했다. 

최근 공개된 동해 심해 가스전 ‘대왕고래 프로젝트’ 1차 탐사 정밀 분석 결과는 이같은 어민들의 분노를 키웠다. 1차 시추에서 저류암 내 가스 비율을 뜻하는 유전 개발의 핵심 지표인 가스포화도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가 기대한 50~70%가 아니라 평균 6%에 불과했다. 

구룡포 홍게잡이 어선들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진행된 1차 시추 동안 수십억 원대 조업 손실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진동과 소음으로 어장이 흔들리며 어획량도 크게 줄었다고도 했다.  ‘대왕고래 구역’ 해수면 아래 1km 이상인 대륙풍 해저까지 파 내려가 암석의 시료를 채취했는데, 해당 구역 일대 ‘홍게 집단서식지’에 있던 홍게들이 진동과 소음 때문에 종적을 감췄다는 것이다.  

김진만 회장은 “시추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반경 20㎞에 이른다는 해외 논문도 있다“라며 ”어선 한 척당 2000만 원 이상의 보상을 요구했지만, 어떠한 조치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대한석유공사는 다른 유망구조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홍게잡이 선주 이모씨(43)는 “시추선이 들어온 뒤부터 홍게 어획량이 체감상 절반 이하로 줄었지만 책임지는 곳이 없어 답답하다”며 “이 상태로 2차 시추가 다시 추진되면 해상 시위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막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현지 포항시 어업관리팀장은 “시추 등 탐사 과정은 석유공사 책임 사안이고, 어민 피해 보상도 석유공사와 협의해야 한다”며 “홍게잡이 어민들이 피해를 주장하지만, 석유공사에서 명확히 보상을 약속한 적은 없었다. 경제성이 없다는 판단이 내려진 상황에서 포항시 차원에서 별도 논의는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글·사진/단정민·이시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