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가뭄·산불이 만든 ‘숨 쉴 수 없는 공기’···포항공대, 초미세먼지의 숨은 메커니즘 밝혀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9-17 11:47 게재일 2025-09-18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연구 이미지. /포항공대 제공

맑던 하늘이 순식간에 뿌옇게 변할 때 우리는 흔히 자동차 매연이나 공장 굴뚝을 떠올린다. 그러나 공기 속에 숨어 있는 또 다른 주범이 있다. 바로 가뭄과 산불이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와 통합과정 신민영·김나래 연구원팀은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대상으로 15년간(2006~2020) 수집한 방대한 대기질 데이터를 분석, 가뭄과 산불이 복합적으로 초미세먼지(PM2.5)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환경학술지 ‘Environment International’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가뭄 정도를 ‘경미·중간·심각·극심’ 네 단계로 나눠 PM2.5 농도 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가뭄이 한 단계 심해질수록 PM2.5 농도는 평균 1.5㎍/㎥씩 높아졌다.

가뭄이 심각해질수록 산불 발생 위험도 급격히 뛰었다. 가뭄지수(SPEI) 한 단계 상승 시 산불 발생 확률은 약 90% 증가했으며 극심한 가뭄 속 산불이 겹치면 PM2.5 농도는 평소보다 평균 9.5㎍/㎥까지 치솟았다.

가뭄만으로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변하지 않았다. 산불이 동반돼야만 PM2.5 수치가 폭발적으로 오르는 것이다.

이형주 교수는 “가뭄·산불·대기오염의 복합 관계를 장기간 자료로 정량적으로 확인한 첫 연구”라며 “한국 역시 주기적 가뭄과 대형 산불을 겪는 만큼 이번 결과가 큰 시사점을 준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산불 예방과 관리가 대기질 개선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