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병원 노조가 15일 “정부의 공공의료 강화 정책은 구체적 계획 없는 구호일 뿐”이라며 국가 책임 강화를 촉구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 대구지역지부와 경북대병원분회는 이날 경북대병원 본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7일 경북대·서울대·강원대·충북대병원 분회가 공동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파업은 2004년 이후 21년만에 네 곳 이상의 국립대병원이 동시에 참여하는 파업이다.
노동자들의 요구는 △공공의료 살리기 △보건·돌봄 인력 확충 △노동조건 개선 △의료 민영화 저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이다.
경북대병원 노조는 이날 “국립대병원은 적정진료를 제공하며 공공의료를 이끌어 나가는 중심이 돼야 한다”며 “주무부처를 교육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이관해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의 인력충원 요구에 대해 노사가 합의를 한 상황임에도 기재부의 총정원 규제로 아직까지 60여 명에 따르는 인력 충원이 되지 않고 있다”며 “결국 누군가가 업무부담을 떠안고 있는 상황”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북권역 재활병원 노조 역시 “전국 권역별 재활병원 중 최저 수준 임금을 받고 있다. 헌법이 보장하는 최저임금마저 위반하는 병원”이라며 “야간 간호관리료를 지급하지 않고 병원 운영비로 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경산시와 병원은 위탁병원의 파견 관리자와 경산시 전관예우 등 고약연봉자들의 채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구 보건복지단체 연대회의 은재식 대표는 “대구지역 상급종합병원 의료진 실태조사 결과 응급실과 수술 건수가 모두 감소했고, ‘응급실 뺑뺑이’로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와 병원이 고용 비용을 줄이려 간호사에게 의사 업무를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북대병원 노조는 지난 6월 임금 단체협약 교섭에 돌입했다. 현재 14차례 교섭을 진행했고, 일부 핵심요구안에 대한 이견이 있어 조정회의를 거쳐 쟁의권을 확보했다. 앞서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조합원 2200여명 중 82.8%가 파업 여부 투표에 참여해 찬성이 86.6% 나왔다.
글·사진/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