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전문가 참여 공청회…친환경 산업과 상생 체계 강조
안동시가 오는 2030년을 목표로 한 공업지역 기본계획 밑그림을 시민과 전문가 앞에 내놨다.
지난 12일 시청 청백실에서 열린 공청회에서는 노후 공업지역의 미래와 도시 산업 생태계의 방향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이번 계획은 2022년부터 시행된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산업단지를 제외한 일반공업지역과 준공업지역 1.12㎢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수립 작업이 진행 중이며, 수상동 일원 노후 공업지역이 핵심 논의 대상에 올랐다.
토론은 서정인 영남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고, 한상훈 중원대 교수, 조득환 경북연구원 선임연구원, 이대원 안동상공회의소 회장이 참여해 열띤 논의를 이어갔다. 전문가들은 친환경 신산업을 중심으로 한 장기적 발전 전략과 지역 주민과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스마트 융합 안동’을 미래상으로 제시하며 △기반시설 확충 △친환경 산업 조성 △산업 회복력 강화 △주민·기업 협력체계 구축 등이 구체적 과제로 꼽혔다. 공업지역 현황과 산업 수요, 입지 여건, 토지이용 계획, 환경관리 방안 등도 함께 검토됐다.
안동시는 공청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반영해 기본계획을 다듬을 예정이다.
안동시 관계자는 “공업지역 기본계획은 단순한 개발이 아니라 지역 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을 뒷받침할 중요한 틀”이라며 “지속가능한 안동형 산업 모델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