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과 시민의 연대로 되살아나는 안동 선진이동주택 보급과 생활 불편 해소
“집은 잃었지만 이동주택을 빨리 마련해줘 여름을 무사히 넘길 수 있었지요. 이렇게라도 살 수 있다는 게 감사할 따름이에요”
지난 10일 안동시 임하면 금소1리 선진이동주택 단지. 주민 김순호(70) 어르신은 “처음 불길이 번지던 날의 아비규환 같은 상황이 지금도 눈앞에 생생하다. 평생 일군 집과 밭이 하루아침에 다 타버렸을 땐 앞이 캄캄했고, 집도 잃고 막막해 정말 힘들었지만 지금은 조금씩 일상을 회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이동주택단지 앞에서는 이웃들이 저녁 준비를 하며 서로의 안부를 물었다. 농삿일을 하는 주민들은 해가 뜨면 여전히 일찍 하루를 시작한다. 논밭은 잃었지만, 손은 늘 무언가를 거들어야 마음이 놓인다. 누군가는 깨를 털고 땅콩을 수확하며 하루를 이어간다. 저녁이 되면 사람들은 삼삼오오 모여 앉아 날씨 이야기를 나누고, 직접 만든 반찬을 함께 나누며 하루를 마무리한다. 잃어버린 마을 대신 이동주택 단지 안에서 새로운 공동체가 형성되고 있다.
김순호 어르신은 “재난지원금으로 농사기구나 상자를 마련할 수 있었고, 앞으로 특별 지원금까지 받으면 더 큰 힘이 될 것 같다. 이장님이 앞장서 주민들을 챙기고 위로해 주신 것도 큰 도움이 됐다. 안동시장도 거의 매일같이 찾아와 점검하고 지원책을 마련해준 덕분에 마음이 한결 놓인다”고 했다.
지난 3월 안동을 덮친 대형 산불은 삽시간에 전역으로 번지며 지역 전체를 마비시켰다. 순간풍속 28m의 강풍을 타고 확산된 불길은 산림 2만6708㏊와 주택 1600여 채를 태웠고, 주민 5300여 명은 긴급 대피했다.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에게 가장 절실했던 것은 안정적으로 머물 수 있는 공간이었다. 이에 맞춰 안동시는 가장 시급한 과제로 주거안정 대책을 꼽았다.
안동시는 정부와 협력해 총 859동의 선진 이동주택을 설치하고, 공공임대주택 74세대와 모듈러주택 17세대를 긴급 제공했다. 각 가구 마다 싱크대와 냉방기기, 바닥난방, 옷장이 갖춰져 주민들이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
주거안정 조치에 이어 생활 전반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행정 지원도 뒤따랐다. 안동시는 ‘과장 담당제’를 도입해 단지별로 간부 공무원과 면장을 책임자로 배치하고 민원을 접수해 즉시 처리하도록 했다. 배수 문제나 생활 편의시설 고장 같은 작은 불편도 현장에서 곧바로 해결됐다.
안동시 사회복지과 재해구호 태스크포스팀은 이재민 지원의 중심에서 맹활약했다. 실내체육관 지하에 모여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패딩, 점퍼, 티셔츠, 바지, 양말 등 동절기 의류를 분류하고 이를 일일이 포장해 주민들에게 전달했다. 무더운 여름에도 주말을 반납한 태스크포스팀의 헌신은 피해 주민들에게 잊지 못할 위로가 됐다.
생계 회복을 위한 지원도 속도를 냈다. 안동시는 55억 원을 투입해 트랙터, 승용제초기 등 농기계를 무상 임대하고 피해 농가의 시설 철거를 지원했다. 농기계를 새로 구입하는 농가에는 최대 70%까지 보조금을 지급하고, 응급 복구용 기자재도 제공했다.
산불은 삶의 터전을 불태웠지만, 잿더미 속에서도 희망은 다시 움트고 있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끝까지 곁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글·사진/이도훈기자 l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