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서 ‘정책 토론회’ 열려 양원호 대가대 교수 소각로 유해 물질 주민 건강 위협 정확한 정보 공개·적절한 혜택을 박종길 달서구의원 혐오시설 밀집… 전체 민원71% 대구시, 지역민 의견수렴 나서야 주민지원협의체 입장문 결정 즉각 철회·환경시설 분산 주민지원 사업 제도화 등 요구
대구 달서구 성서소각장 2·3호기 계속 사용 문제를 두고 주민 반대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성서소각장 2·3호기 사용 연장 정책토론회가 10일 달서구 와룡배움터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는 양원호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안전학과 교수를 비롯해 박종길·김정희 달서구의원,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 김민조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그리고 지역주민 대표 등 30여 명이 참석해 뜨거운 논의를 벌였다.
성서소각장 2·3호기는 1998년 준공돼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시설이다. 대구시는 2029년까지 총 1162억 원을 투입해 주요 시설과 설비를 전면 교체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양원호 교수는 “배출 허용 기준 준수가 지역 주민에게 건강 영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소각로에서 배출된 유해물질은 인근 지역주민에게 암, 심혈관계질환, 간손상, 호흡기 손상 등 치명적인 건강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에너지 회수 등의 경제적 이득은 유해물질 노출에 따른 지역주민 건강영향보다 우선하느냐. 돈이 좀 더 들어도 주민 건강을 위해야 한다”며 “최후의 상황으로 대구시가 계속 사용을 주장한다면 정확한 정보를 공개하고 주민들에게 적절한 금전적·문화적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길 달서구의원은 “성서 지역에 소각장, 매립장, 산업단지, 열공급시설 등 혐오시설이 밀집해 있다”며 “달서구 동별 악취 민원을 보면 2023년 기준 장기·용산·이곡동 등 성서지역 민원이 전체 달서구 민원의 71%를 차지한다. 생활폐기물로 인한 민원”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폐기물처리시설 국고보조금 업무처리지침에 따라 성서 2·3호기 대보수 비용은 1162억 원이 들었다. 그런데 성서 1호기는 1793억 원이 들어야 하는데 실제 사업비는 1210억 원이 들어 500억 원이 넘게 줄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또 “경제적·사회적·시간적·공간적 비용이 적게 들어간다는 이유 때문에 성서소각장 2·3호기 사용할 수밖에 없다면 지금이라도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며 ”대구시는 성서 주민들과 대화를 해 사업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고 대화하는 등 지방자치에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협의체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성서자원회수시설 주민지원협의체(위원장 서민우, 위원 김기열·권숙자·이영빈)는 지난달 21일 입장문을 내고 “성서소각장 2·3호기 연장 사용 결정에 대해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협의체는 대구시에 △성서소각장 2·3호기 연장 결정의 즉각 철회 △환경시설 분산 배치를 위한 로드맵 마련 △성서지역 환경개선과 주민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재원 제도화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미 작년에도 연장 사용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구시는 아무런 공식적인 응답 없이 연장 사용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글·사진/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