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李 대통령이 정국경색 푸는 중재자 돼야 한다

등록일 2025-09-09 19:47 게재일 2025-09-10 19면
스크랩버튼

그저께(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오찬 회동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정청래 민주당 대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민생경제협의체’ 구성에 합의함에 따라, 협의체 구성을 위한 실무협의가 조만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협의체는 장 대표가 제안했고, 정 대표와 이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전격 합의됐다. 그동안 여야 대치로 얼어붙었던 정국이 협치 모드로 전환될지 주목된다.

정례화하지 않은 것은 아쉽지만, 협의체는 야당 대표가 요청하면 개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의제는 여야 이견이 크지 않은 공통 대선 공약과 청년 고용, 지방 건설 경기 활성화 등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여야정 국정협의체가 구성된 적이 있다. 당시는 문 대통령의 제안으로 여야 원내대표 등이 참여해 정례적으로 개최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여야 갈등이 워낙 심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못했다. 이번엔 제안자가 야당 대표이고, 참여 범위가 대통령실과 민주당, 국민의힘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대통령이 취임 후 100여 일 만에 야당 대표를 만나 정치권의 협치 무드를 리드하는 장면은 평가를 받을 만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장동혁 대표를 따로 만나 “화합과 상생의 정치를 위해 야당 대표가 요청하면 적극 검토해 소통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가 서로를 국정 운영의 파트너로 인정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진정성에는 의심이 가지만, 이날 여야 대표들도 서로 협조와 협력, 소통을 해나기로 굳게 약속했다.

하지만 쟁점 현안에 대한 여야 간 이견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향후 실질적인 협치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특히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국민의힘을 사실상 내란세력으로 몰아가는 민주당 태도가 바뀔 가능성은 크지 않다. 선거일이 임박할수록 강성지지층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정치권 생리다. 이런 측면에서 이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여야 중재자 역할을 하며, 경색된 정국을 풀어나갈 필요가 있다.

오피니언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