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염분·해풍 고사 반복’ 포항운하 가로수···과학적 관리 대책 시급

김보규 기자
등록일 2025-09-03 17:41 게재일 2025-09-04 1면
스크랩버튼
독립적 생육 기반 마련 대신 추측성 대응 수종 교체 2억5000만 원 낭비 
화단 높이기·수종 교체는 미봉책 불과···충분한 담수 공급 필요 
토층 조사·조수 간만에 따른 염수 영향 등 과학적 데이터 확보 선행돼야
Second alt text
염분을 머금은 토양과 해풍의 영향으로 포항운하 주변 가로수와 조경수의 고사가 반복되고 있다. 3일 오후 포항 운하 주변에 심어진 메타세쿼이아가 잿빛을 띄며 죽어가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해풍과 염분을 머금은 토양 때문에 고사를 반복하는 포항운하 주변 가로수를 살리려면 독립적 생육 기반과 과학적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태열 경북대 조경학과 교수는 3일 경북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포항운하 주변 토층 조사와 조수 간만에 따른 염수 영향 등 과학적 데이터 확보가 선행돼야 하고,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독립적 생육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지금까지는 추측성 대응에 머물렀다”라면서 “세금만 낭비할 게 아니라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2014년 포항운하 준공 당시 포항운하 주변에는 메타세쿼이아, 이팝나무, 남천, 느티나부, 곰솔, 대왕참나무 등을 심었다. 그러나 메타쉐쿼이아는 염부에 취약했고, 다른 나무들도 뿌리를 안정적으로 내리지 못했다. 5년 뒤 ‘포항운하 워트프론트 도시숲 조성 사업’을 통해서는 1억1994만 원의 예산을 들여 왕벚나무 40주, 이팝나무 29주, 대왕참나무 37주 등 106주를 새로 심었다. 그런데도 고사목이 발생했다. 

2023년 포항시는 1억3650만 원을 투입해 이팝나무 4주, 가지나무 36주, 아왜나무 9주, 느티나무 7주 등 56주를 다시 심었지만, 포항운하 주변 가로수는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있다. 김달수 포항운하관리팀장은 “염분 피해를 줄이기 위해 2023년부터는 염분에 강한 수종으로 교체해 심어왔다”라면서도 "포항운하가 바다와 인접한 데다 수면과 가로수 뿌리 깊이 차이가 1m 남짓에 불과해 생육 조건이 불리하다”고 설명했다. 

고충호 산림청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자원 활용센터 연구사는 염분 스트레스와 건조 스트레스의 유사성을 포항운하 주변 가로수 고사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물은 충분해도 염분에 노출되면 뿌리가 물을 흡수하지 못해 마치 가뭄처럼 느끼게 되고, 포항운하 주변 토양은 바닷물과 연결돼 나무가 염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는 구조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고 연구사는 “해풍까지 겹쳐 나무 성장이 억제된다”고 했다. 

사정이 이렇자 포항시는 일부 구간의 지반을 50cm 높여 화단처럼 조성하는 시범사업을 했다. 토양 문제가 근본 원인이라는 진단에 따라 수목에 대형 워터백을 설치해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있다. 

염분에 강한 수종 선택, 흙을 쌓아 올려 심기, 충분한 담수 공급 등의 해법을 제시한 고충호 연구사는 “물주머니 방식은 부족하다. 지표면에서 흘러내릴 만큼 충분한 담수를 꾸준히 공급해야 한다”며 근본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태열 교수는 "수종 교체나 화단을 50cm 올리는 것은 미봉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토층 조사와 조수 간만에 따른 염수 영향 등 과학적 데이터 확보가 선행돼야 하고, 결국 식물이 자랄 수 있는 독립적 생육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생육 기반이 단절되는 화분식 구조 대신 보습, 비료 순환, 폭염과 가뭄에 대한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주변 토양과 수분, 뿌리망이 서로 이어지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특히 “지금까지 추측성 대응에 머물렀다”라면서 “세금만 낭비할 게 아니라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보규기자 kbogyu84@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