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분양 물량 ‘0’… 얼어붙은 지방 부동산 현 주소지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8-27 14:44 게재일 2025-08-28 6면
스크랩버튼
현 부동산 정책 대구에 맞지 않아
대출 규제 완화·세제 혜택 필요
오는 11월 분양 예정인 ‘더샵 동성로센트리엘’ 현장의 모습. /황인무기자

대구 부동산 시장이 역대급 침체기를 보내고 있는 가운데 대구·경북의 분양 예정 물량 역시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약 3만 9000가구가 내달 공급될 예정이지만 물량이 없다는 것은 얼어붙은 지방 부동산의 현 주소지임을 알 수 있다.

27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9월 전국의 분양 예정 아파트는 53개 단지, 총 3만 8979가구이다. 2023년 10월(1만 2581가구) 이후 약 2년 만에 재개발, 재건축 등으로 최다 물량이 쏟아질 예정이다. 이 중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 사업지 공급 물량은 전체의 30%인 1만 1852가구로 수도권 10곳(8644가구), 지방 4곳(3208가구)에서 분양을 앞두고 있다.

반면 대구의 분양 물량은 1월 418가구를 시작으로 2월 433가구, 3월 469가구, 4월 464가구, 5월 648가구, 6월 0가구, 7월 1419가구, 8월 54가구에 그쳐 전반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인다. 9월에도 물량이 전혀 없으며 경북지역도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간 신규 분양 물량은 ‘0’ 건을 기록해 부동산 업계에서는 고민이 크다.

특히 대구에서는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 일부 분양이 예정돼 있지만, 내년 하반기부터는 신축 아파트 분양 자체가 없을 전망이기에 소비자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현 시점이 가장 저점이고, 신규 아파트를 구매하기 가장 좋은 시기라고 분석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정부의 대출 규제(DSR)를 포함, 미분양 단지에 대한 두려움이 있어서다.

김 모(37) 씨는 “도심 곳곳에 파격적인 혜택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보면 혹하는 마음도 들지만, 악성 미분양이 많은 대구인 만큼 구매 후 (매매가 되지 않아) 그곳에 갇히게 될 것 같아 고민된다”며 “무엇보다 낮은 대출한도에 고금리 이자를 생각하니 마땅히 갈 곳도 찾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진우 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 소장은 “올 하반기부터 공급 물량이 줄어들기 시작해 내년에는 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간 누적 물량이 있어 단기적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2027년 이후엔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고 현재와 같은 ‘똘똘한 한 채’로 쏠리는 현상은 더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지방 부동산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현재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수도권 집값 안정을 목표로 하고 있어 대구처럼 공급 과잉과 미분양 문제가 심각한 지역에는 맞지 않다”며 “대구 부동산 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해 대출 규제를 완화하고, 세제 혜택을 제공해 주택 구매를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지방에 있는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경우, 취득세와 양도소득세를 감면해주는 정책을 통해 투자 수요와 실수요를 모두 끌어들여 미분양 물량을 해소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서민과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을 돕기 위해 디딤돌대출, 버팀목 대출 등 정책대출의 한도를 확대하거나 금리를 낮추는 방안도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