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스트레스와 만성피로

등록일 2025-08-26 18:11 게재일 2025-08-27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박용호 포항참사랑송광한의원장

스트레스가 쌓이고 누적되면 우리는 피곤함을 느낀다. 그런데 스트레스가 원인이면 잠을 못 자거나 일이 많아서 생기는 피로와 달리 아무리 쉬어도 회복되지 않는다. 늘 몸이 무겁고 머리가 맑지 않은 상태가 계속된다면 단순히 과로했다고 생각하지 말고 스트레스로 인한 몸의 피로를 생각해야 한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결과론적으로 자율신경계의 불균형이 원인이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이루어져 몸의 긴장과 이완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경망이다. 교감신경이 주로 흥분과 긴장을 담당한다면 부교감신경은 안정과 회복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대인처럼 지속적인 스트레스 속에 살다 보면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고 부교감신경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심장이 두근거리거나 잠이 깊지 않고 자주 깨거나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증상이 나타난다. 피로가 누적되고 심해지며 체력이 떨어져 결국 만성피로라는 이름의 고질적인 불편함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기혈의 순환이 막히고 장부의 균형이 깨진 것으로 본다. 특히 간과 심장은 스트레스와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어 간과 심장의 기운이 울체되면 가슴이 답답하고 쉽게 화가 나며 소화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심장의 기능이 불안정해지면 불면과 두근거림 같은 증상이 생기고 이에 비위가 약해지면 음식에서 얻는 에너지를 제대로 쓰지 못하니 몸은 늘 지치게 된다. 스트레스라는 자극이 전신의 자율신경과 장부의 조화를 무너뜨리고 이로 인해 회복되지 않는 만성피로가 심화되는 것이다.

치료의 핵심은 몸과 마음의 균형을 다시 세우는 데 있다. 약침 치료는 교감신경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강화하여 심리적 안정을 돕는다. 특히 자율신경 조절에 효과적인 혈 자리에 약침을 활용하면 긴장이 풀리면서 수면의 질이 개선되고 심장의 두근거림과 가슴 답답함도 차츰 완화된다. 한약은 소모된 에너지를 보강하면서도 가슴의 열을 내려주고 막힌걸 풀어주는 방향으로 처방할 수 있다. 심장의 열을 내리고 심신을 안정시키는 약재와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약재를 적절히 배합하면 전신의 에너지 균형이 회복된다.

치료와 더불어 생활 습관의 조정도 중요하다. 불규칙한 생활은 자율신경의 균형을 더욱 무너뜨리므로 일정한 수면과 식사 리듬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이나 카페인 과다 섭취는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므로 줄이는 것이 좋다. 홍삼 에너지음료 등 힘이 나는 식품들은 교감신경을 항진 시키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가벼운 운동이나 명상과 호흡법은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회복에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도 ‘내가 지금 너무 지쳐 있다’는 신호를 외면하지 않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만성피로에서 벗어나는 가장 빠른 길이다.

스트레스가 불러온 피로를 단순한 생활 습관 문제로만 여기면 회복은 더디다. 자율신경의 균형 회복을 목표로 한방치료와 생활 관리가 함께 이루어질 때 몸은 다시 제 리듬을 찾고 깊은 회복의 길로 들어설 수 있다. 피곤함이 일상이 되어 버린 지금 만성피로를 단순한 피곤이 아닌 자율신경의 신호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박용호 포항참사랑송광한의원장

한방산책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