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보다 돈을 더 귀하게 여기는 잘못된 풍토가 근본적 원인” HS화성· ㈜삼구 등 건설업체 ‘중대재해 ZERO 달성’ 캠페인 실시간 위험 감지·경고 시스템 등 ‘스마트 안전 기술’ 필요성 사고 발생시 철저한 원인 조사·유가족 충분한 보상 이뤄져야
연이어 발생한 포스코이앤씨 산업재해 사망사고 영향에 건설업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산재 사망은 사회적 타살”이라고 재차 경고했기에 업계의 긴장감은 커지고 있다.
지난 12일 이 대통령은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6회 국무회의에서 “안전조치를 왜 안 하느냐, 근본적으로 따져보면 돈 때문”이라며 “결국 목숨보다 돈을 더 귀하게 여기는 잘못된 풍토가 근본적 원인이다. 제가 특공대라고 했는데 일상적으로 산업 현장들을 점검해서 필요한 안전조치를 안 하고 작업하면 그 자체를 엄정하게 제재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계속 강조하는데 사람 목숨만큼 중요한 게 어디 있겠느냐. 다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이라며 “살기 위해 갔던 일터가 죽음의 장이 돼선 절대로 안 된다”고 밝혔다. 또 “피할 수 있는데 피하지 않았다든지 특히 돈을 벌기 위해서,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지출해야 할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 누군가의 목숨을 빼앗는 것은 전에도 말씀드렸습니다만 일종의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나 사회적 타살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앞서 건설업계 현장에서 지속해 사망사고가 발생하자 건설업체는 너·나 할 것 없이 ‘중대재해 ZERO 달성’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대구에서는 HS화성이 올해 초부터 캠페인을 시작했고, ㈜삼구 역시 포항 공사 현장에서 지난 12일 캠페인을 펼쳤다.
내용은 모두 같다.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건설 현장 사망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역 건설사의 책임 의식과 동참 의지를 공유하고 경각심의 고취를 내세우며 안전 문화 고도화, 자율 안전보건 체제 구축 완료 등을 통해 안전한 일터의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만, 캠페인 하나로 그동안 이어진 사고가 줄어들지는 미지수다. 사고 예방에 힘쓰기 위해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역량을 모으고 있지만 현장에 녹아내린 관습과 인식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한 ‘구멍’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사고를 막는 것이 최우선인 만큼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작업장 내 잠재적 위험 요소를 사업주와 노동자가 함께 꼼꼼하게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과정을 의무화해야 한다. 특히 위험 작업에 대해서는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스마트 안전 기술 도입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사물 인터넷(IoT), 인공지능(AI) 같은 기술을 활용해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경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면서 “예를 들어 건설 현장에서 노동자의 추락 위험을 감지하거나 유해 물질 누출을 미리 알려주는 센서 기술을 도입할 수 있다”고 했다.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실제 작업 환경과 유사한 상황을 만들어 반복적인 훈련을 시행해 위기 대응 능력을 키울 필요도 있다는 점 역시 설명했다.
현장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대응과 보상 부분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불가피하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해 피해를 줄여야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긴급 구조 및 의료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도 있다. 또한, 사고 발생 후 철저한 원인 조사를 통해 유사 사고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명확한 대책을 세우고, 이를 모든 사업장에 공유하여 예방 효과를 높여야 한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안타깝게도 사망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남겨진 가족들이 안정적으로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면서 “현행 산재보험 보상 기준을 현실에 맞게 상향하고, 장례비, 유족 급여 등을 충분히 지급해 유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 기업, 노동자 모두가 함께 노력할 때 비로소 안전한 일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