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그저께(11일) “올해 시행 중인 ‘저출생과 전쟁 시즌2’ 150개 핵심과제의 상반기 평균 추진율이 54% 수준”이라고 밝혔다. 올해 편성된 국·도비 예산 4485억원 중 58%인 2576억원을 집행한 결과다. 일선 시군에서는 “피부에 와 닿는 정책”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지난 2023년 1월, 저출생과의 전쟁을 선포한 경북도는 매년 100~150여 개의 구체적인 과제를 선정해 이행과정을 타이트하게 점검해 나가고 있다. 이 과제들은 청춘남녀 만남에서부터 출산, 돌봄, 주거, 일‧생활 균형, 양성평등까지 전 생애를 아우르는 정책이다.
대표적인 사업은 ‘K 보듬 6000’이다. 아파트 1층 공간을 비롯해 기존 공동육아 나눔터, 어린이집 등을 유연하게 활용해 자정까지 운영하는 온종일 돌봄 시설을 만드는 사업이다. 현재 도내 12개 시·군에서 58곳을 운영하는 등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올해 처음 138쌍을 지원한 20대 신혼부부 100만원 혼수비용 지원사업도 인기다. 경북도가 주선하는 청춘남녀 만남 프로그램은 남성 경쟁률이 19대 1을 넘을 정도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어르신 일자리와 돌봄을 결합한 조부모 손자녀 돌봄 사업(480명 지원), 아픈 아이 긴급 돌봄센터(13곳), 일자리 편의점(161명 취업) 사업 등도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지난해부터 출생아수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기 시작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3/4분기 경북도 합계출산율은 0.91명으로 2023년 0.86명보다 크게 상승했다. 경북도의 2024년 출생아 수는 1만467명으로 2023년 1만432명(군위 제외)보다 35명 증가했다. 2015년 이후 9년 연속 감소한 출생아 수가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된 것이다. 올해 들어서도 경북도내 출생아 수는 지난 3월부터 3개월 연속 전년 대비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여전히 수도권에 모든 국가자원이 몰리면서 비수도권 소멸 위기가 계속되고 있지만, 경북도의 저출생 극복 정책이 성과를 내고 있는 것은 평가를 받을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