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농사의 기본은 토양산도 바로 알기부터

곽인규 기자
등록일 2025-08-11 12:54 게재일 2025-08-12 11면
스크랩버튼
상주시농기센터, 지속적인 교육과 측정키트 배부
Second alt text
상주시농업기술센터가 토양산도 바로 알기 교육을 하고 있다. /상주시 제공 

상주시가 농사의 가장 기본이 되는 토양산도 바로 알리기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상주시농업기술센터(소장 김정수)는 농경지 토양산도(pH)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대농민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5월 28일 1차 교육, 6월 26일 2차 교육에 이어 8월 8일에는 30여 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3차 교육을 진행했다.

센터는 교육과 함께 간편하게 토양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자체제작 토양산도간이측정키트도 배부했다.

토양산도(pH) 범위는 1 ~ 14이며, 7은 중성, 7보다 낮으면 산성, 7보다 높으면 알칼리성으로 분류한다.

토양이 나타내는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정도를 토양반응이라고 하는데, 보통 토양산도(pH)로 표시한다.

토양산도는 토양의 화학적 성질 중 하나로 작물이 흡수하는 무기양분의 용해도와 토양미생물 활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다.

일반작물의 적정 토양산도는 6.0~6.5로 알려져 있다.

농업기술센터는 지난 3년(2022~2024년) 동안 토양산도 측정을 위해 과수, 논, 밭, 시설 등을 대상으로 9592건의 시료를 분석했다.

이 결과 20% 이상이 토양산도 5.5 이하이거나 7.5 이상이었다.

이 때문에 센터는 토양산도의 중요성과 교정방법을 알리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간편하게 산도측정을 할 수 있는 자체제작 간이측정키트를 교육받은 농업인에게 나눠줬다.

서정현 미래농업과장은 “토양산도는 작물 양분 흡수에 영향 미치는 매우 중요한 특성인 만큼 토양검정 결과 산도가 적정 범위를 벗어난 필지의 농업인에게는 개별적으로 연락을 하고 있다”며 “올해 1~2회 정도 교육을 더 추진해 지역 내 농경지가 적정 토양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