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산업은 국가기간산업이다. 대한민국을 경제 강국으로 이끈 대표 산업이라는 데 부정할 사람은 없다.
제철을 산업의 쌀로 부르는 것도 제철산업이 가진 산업 영향력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제철은 자동차, 조선, 전자제품, 건설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성장과 경쟁력을 견인했다.
포항은 포스코와 함께 성장한 철강도시다. 세계 최고 철강기업인 포스코를 비롯해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수많은 철강 관련 기업들이 포진해 포항의 경제를 리드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위기가 닥치면서 철강업 중심의 포항경제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포스코, 현대제철 등 대기업의 공장 일부가 가동을 멈추고, 포항철강공단 내 기업의 가동률도 70%대로 떨어졌다. 이런 여파로 지역 상가에도 찬바람이 불어 상가 공실률이 40%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미국의 50% 관세와 중국의 저가공세로 위기에 몰린 철강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최근 국회가 철강업 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발의했다. 그러나 특별법만 믿고 있을 수는 없다. 정부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으로 위기에 빠진 포항지역 철강산업이 새로운 돌파구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철강산업은 미국의 고관세 등 어려워진 글로벌 시장 환경문제뿐 아니라 안으로는 탈탄소의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도 주력해야 한다. 탄소중립의 대전환을 위한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지속 가능한 제철산업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성취해야 할 과제다.
지난 5일에는 산업부 관계자와 전문가로 구성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민관합동실사단이 포항을 찾았다. 실사단은 지역경제의 종합상황을 진단하고 앞으로 선제지역 지정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산업부는 지난 5월 석유화학산업단지가 있는 여수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여수시는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의 체질개선에 나서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 상황이 쉽게 해소될 것 같지 않다. 국가 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의 위기 타개를 위해 포항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