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스트레스엔 ‘물고기 멍’이 직방”···포항서도 이색 취미 확산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8-05 15:06 게재일 2025-08-06 3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포항시 북구의 한 양식당에서 손님들에게 구피를 무료로 분양하고 있다. /단정민기자

화려한 꼬리를 가진 구피, 폭풍 번식이 특징인 체리 새우, 푸른색과 붉은색을 함께 뿜어내는 열대 물고기 네온테트라 등 ‘관상어’를 보면서 지친 마음을 달래는 ‘물고기 멍’, ‘물멍’이 유행이다. 유명 연예인이나 유튜버가 ‘물멍’과 ‘비바리움’(테라리엄 속에 소동물을 함께 넣어 감상하는 원예 활동)을 취미로 소개한 이후 국민적 관심도가 커졌다. 

포항에서도 ‘물멍’을 이색 취미로 삼은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2012년 개설한 ‘포항 열대어 모임’은 2300여 명의 회원을 자랑하는데, 하루에도 수십 건의 게시물이 꾸준히 올라온다. 

자신의 수조를 소개하는 ‘물방’ 사진부터 열대어 사육 팁, 장비 후기, 무료 나눔 소식까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한다. 한 회원은 “집에 돌아와 어항 조명을 켜는 순간 하루의 피로가 녹는다”며 “출근길에는 다른 사람들의 물방 사진을 보며 짧은 위로를 받는다”고 했다. ‘물멍족’이 늘면서 수족관 매장도 인기다. 

포항에는 각종 열대어, 새우, 수초, 유목, 여과기 등 장비를 갖춘 전문 매장들이 많다. 

남구 오천읍의 한 수족관은 단순한 관상어 판매를 넘어 미니 생태계를 구현한 테라리움, 비바리움, 팔루다리움을 전시·판매하고 있다. 테라리움은 유리 용기에 식물을 키우는 방식이며 비바리움은 여기에 소형 동물까지 함께 사육하는 형태다. 팔루다리움은 물과 땅, 동물과 식물이 공존하는 수조형 생태계로 최근 인테리어 아이템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대구에서 이곳을 찾았다는 A씨는 “사장님이 직접 만든 팔루다리움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며 “나만의 힐링 공간을 만들기 위해 찾는 사람이 많다. 물고기가 수초 사이를 유영하는 모습만 봐도 마음이 정화된다”고 말했다. 

물고기 나눔 문화도 퍼지고 있다. 북구에 있는 한 양식당은 손님에게 직접 키운 구피를 무료로 분양해 눈길을 끈다. 식당 관계자는 “한 손님이 ‘물고기 멍이 너무 힐링된다’며 식사 후 구피 몇 마리를 더 받아갔다”며 “찾아오는 분들 중에 물고기 키우는 데 관심 있는 분들이 제법 된다”고 전했다.

중고 거래 플랫폼 등지에도 ‘알비노 풀 플래티넘 화이트’, ‘블루 테일 구피’ 등 소형 열대어를 나눔하는 글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다. 취미 진입 장벽을 낮추는 순환 구조가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물멍’ 열풍은 단순한 유행이 아닌 현대인의 정서적 갈증과 맞닿아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이병대 위덕대 반려동물학부 교수는 “물고기, 수초, 수조 장식물 등을 돌보는 일은 시끄럽지 않지만 일상 속 생명을 바라보고 돌보는 깊은 행위”라며 “디지털 피로와 인간관계 소진 속에서 반응 없는 생명체와의 조용한 교감이 새로운 위안 방식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