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정청래 의원이 지난 2일 열린 전당대회에서 60%가 넘는 득표율로 당권을 거머쥐며 이재명 정부 첫 여당 대표 자리에 올랐다. ‘강성 친명계’로 분류되는 정 대표는 1980년대 학생운동권 출신의 4선 중진이다. 그의 당선으로 민주당은 이 대통령의 친정 체제가 더욱 굳어지게 됐다. 신임 민주당 대표는 임기가 비록 1년으로 짧지만, 여당의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하는 자리여서 정치권의 주목을 받아왔다. 정 대표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게 되면 연임에 도전해 차기 총선까지 당을 이끌 가능성도 있다.
정 대표는 경선 과정에서 국민의힘 해산을 공공연하게 밝혀 왔기 때문에 앞으로 정국 경색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취임 일성으로 “강력한 ‘개혁 당 대표’가 돼 검찰개혁, 사법개혁, 언론개혁을 추석 전에 반드시 마무리하겠다”고 했고, 야당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야 개념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란 세력을 뿌리 뽑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앞서 국민의힘 해산을 겨냥해 국회가 본회의 의결로 정당해산 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정 대표의 향후 과제는 국민 여론 관리다. 지금처럼 강성 지지층을 지나치게 의식해 야당과의 관계에서 강경 일변도로만 흐르게 되면, 향후 중도층 이탈로 지방선거에서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여당 대표로서의 품위도 지켜야 한다. 야당의 잘못을 따지고 공격할 수 있지만, 정제된 언어를 사용해야 하고 관행과 절차를 중시할 필요가 있다.
안타까운 것은 무기력한 국민의힘이다. 국민의힘은 이제 정 대표와 맞서 싸울 힘마저 잃어버린 것 같다. 정 대표의 당선 직후 국민의힘 지도부가 “야당 협박을 멈추고 국정의 동반자로 존중하길 바란다”고 했지만, 너무나 공허하게 들린다. 오는 22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는 국민의힘은 여전히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찬탄파’와 ‘반탄파’로 나뉘어 내홍을 겪고 있다.
정 대표가 야당의 명줄을 끊겠다며 압박할 수 있는 것도 국민의힘이 리더십을 상실한 채 집안싸움에만 몰두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