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농업기술원 인삼 종자 관리가 인삼 농사의 절반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7-27 15:36 게재일 2025-07-28
스크랩버튼
개갑률 높이려면 적기 수확, 폭염기 개갑장 온도 관리 철저
인삼 종자./경북도 제공

경북농업기술원이 본격적인 인삼 종자 수확철을 맞아, 농가들에게 적기 수확과 폭염기 개갑장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고품질 인삼 생산을 위한 핵심 단계로, 수확 시기와 환경 관리가 인삼 농사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7일 기술원에 따르면 경북지역 인삼 열매는 7월 중하순에 숙기가 도래하며, 특히 7월 25일부터 30일 사이가 수확에 가장 알맞은 시기로 분석된다. 수확을 너무 서두르면 종실이 불량해지고, 너무 늦으면 ‘개갑’에 필요한 일수가 부족해지며 발아율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인삼 종자는 수확 시점의 미세한 차이에도 품질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지역별 적기 수확 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전했다.

이에 수확한 인삼 열매는 과육 제거기 등을 이용해 과육과 종자를 분리한 후 종자를 흐르는 물에 2~3일 정도 담가 두고 물에 뜨는 불량한 종자는 제거해야 한다. 또한, 물에 뜨는 종자는 발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간주되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수확된 인삼 종자는 씨눈 발달이 미숙한 상태이므로 모래에 묻고 물을 공급하며 약 100일간 씨눈 성장을 유도한다. 이 과정에서 씨눈과 씨젖의 부피가 커지며 단단한 종피가 갈라지게 되는데, 이를 ‘개갑’이라고 한다. 이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발아율은 현저히 낮아질 수 있다. 개갑에 적합한 온도는 153일에 한 번으로 조절하는 것이 권장된다.

최돈우 풍기인삼연구소장은 “우수한 종자 확보가 인삼 농사의 절반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농가는 수확 시기뿐 아니라 개갑장 온도 유지와 관수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경북은 국내 인삼 주산지 중 하나로 지역 농가들의 세심한 재배 기술과 노력은 인삼 품질 향상에 있어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다. 이번 수확철 역시 고품질 종자 확보를 위한 철저한 준비가 강조되면서, 인삼 산업의 미래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