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 안내 표지판·불명확한 신호수...교통혼잡·사고 위험
경주시가 2025년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주요 도로 환경 정비를 추진하면서 시민과 관광객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는 비판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주시가 APEC 개최 시점에 맞추기 위해 시민 안전은 고려하지 않은채 무리한 공사를 강행하고 있어 부실 의혹도 나오고 있다.
경주시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산업로(용강, 동천) 구간과 용강동 및 동천동 일원에서 도로 정비(아스콘 절삭 후 덧씌우기) 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사업비는 8억원이 훌쩍 넘는다.
그러나 공사 현장에는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공사 안내 표지판이 없거나 불명확하게 배치되어 있고, 신호수도 자리를 지키지 않아 운전자들이 공사 구간을 알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일부 운전자들은 뒤늦게 현장을 확인하고 급정거를 하거나 서로 먼저 진입하려다 차량이 뒤엉키는 등 일대가 교통 혼잡이 빚어지며 사고 위험마저 높다.
또한, 공사현장으로 인한 도로 사각지대 발생으로 보행자와 차량 간의 충돌 위험마저 도사리고 있다.
특히 하루 수만 대의 차량이 이동하는 주요 도로에서 안전관리조차 지켜지지 않은 채 공사가 강행되고 있어 관리 부재의 행정 무능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의 토목 전문가들은 “도로포장 공사 중 안전표지, 차선 변경 안내판 등은 도로관리자의 기본 의무이다”며 “이를 지키지 않는 것은 명백한 법규 위반이자 시민의 안전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는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행사로, 경주를 찾는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최상의 도로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경주시의 의지는 이해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외양 치장’에 급급한 공사로 인해 시민과 관광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현실은 심각하게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민선 8기 들어 시장 취임 이후, 현장 관리 부재와 소통 결핍은 심각한 징후이며 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닌 구조적 문제로, 시민의 ‘안전 감시 권리’를 포기한 것과 같다”라고 힐난했다.
경주시 관계자는 “앞으로 시민과 관광객들의 안전을 위해 철저한 공사 관리 감독을 하겠다”고 밝혔다.
/황성호 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