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지’ 붙이기가 성행하는 세상이다. 자기 생각과 다른 사람에게 가장 듣기 싫을 법한 ‘별명’을 붙여준다. 세상은 속스러워져서 정권이나 언론, 정당이나 하던 짓을 일반 사람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한다. ‘프레임’ 씌우기도 ‘동물농장’의 ‘나폴레옹’처럼 ‘영특하게도’ 알아차려 잘도 활용한다.
한번 ‘프레임’을 상대방에게 씌우면, 일단 ‘프레임’을 뒤집어쓰고 갇혀 버리면 여간해서는 거기서 벗어날 수 없다. ‘프레임’ 정치가 횡행한 지 오래, 이제 이 ‘정치’는 역사학자들의 것이 되고 문학인의 것이 되었다.
최근에 접한 신조어 ‘프레임’ 중에 ‘틀포티’라는 말이 있다. 챗GPT에 물어보면, ‘틀니를 낀 40대’의 준말이라 한다. ‘틀’은 틀니에서 왔고, ‘포티’는 영어 ‘forty’에서 왔다. 원래 ‘뜰딱’이라는, 노년층 상대의 끔찍한 ‘프레임어’가 있었던 것을, 이제는 ‘40대’에 적용한 것이다. 구시대적 사고방식에 ‘찌들어 있다’는 뜻을 갖는다.
‘유사역사학’이라는 것도 대표적인 프레임 씌우기다. ‘pseudo-history’란 원래 ‘학문적 기준과 검증 절차를 따르지 않고 편견, 상상, 음모론 등에 기반해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거나 날조하는 주장이나 체계’다. 좋은 의미를 가질 리 없다. 그러니 이 말은 다른 사람이나 입장을 향해 함부로 쓸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일단 뒤집어 씌우면 상대방에게 치명적인 불명예, ‘독’이 되기 때문이다. 똑같은 일을 자신이 당할 수도 있음은 생각지 않는다.
이런 말 중에 요즘 시국과 관련해서 특히 유행하는 말은 ‘극우’니 ‘극좌’니 하는 말이다. 이것은 이념상의 스펙스럼 가운데 양쪽 극단에 선 입장을 가리킨다. 이것이 우리나라 경우에 적용되면 그 효용이 단박에 드러난다. ‘부정선거’를 말하면 ‘극우’라는 ‘딱지 붙이기’에 꼼짝없이 당하기 쉽다. 학자나 문학인은 그래도 지성인이라 하는데, 남한테 그런 딱지를 붙이고 안심하고 만족해 한다? 끔찍하다.
먼 옛날 샤카족(釋迦族)의 왕자 ‘고타마 싯다르타’는 오랜 고행 끝에 해탈에 이르는 새로운 길을 찾았다. 그것은 ‘중도(中道)’에 서는 것이었다. ‘중도좌파’니 ‘중도우파’니 하는 말을 하지만 ‘샤카무니(釋迦牟尼)’에게 이 말은 전혀 다른 의미를 가졌다. ‘구담 실달타(瞿曇 悉達多)’는 당시 ‘사문(沙門)’들, 곧 수행자들의 ‘화두’에 대해 전혀 차원 다른 통찰을 보였다.
사문들은 ‘세상’이 본디 있다거니 없다거니, ‘자아’라는 것이 있다거니 없다거니 하고들 있었다. ‘석가’는 이 두 개의 극단적 입장을 ‘버리고자’ 했다. 그런데 그 ‘버린다’는 것은 양극단의 중간쯤에 서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양극단을 해체하고자 했다. ‘자아’라는 것, ‘나’라는 것은 본디 있다고도 없다고도, 있는 것이 아니라고도, 없는 것이 아니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
고민한다. 과연 이 지독한 ‘딱지붙이기’의 세상에서 ‘중도’에 선다는 것은 무엇일까? 어떻게 해야 새로운 사유의 차원을 열 수 있을까? 과연 ‘나’는 프레임 붙이기에 빠지지 않고 사유의 자유를 얻을 수 있을까?
/방민호 서울대 교수·국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