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민주·국힘 함께 ‘민생공약 협의체’ 꾸린다

고세리 기자
등록일 2025-07-07 20:31 게재일 2025-07-08 4면
스크랩버튼
양당 대선 공통 공약 실현키로 합의
이견 크지 않은 사안부터 신속 처리
Second alt text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국민의힘 김정재 정책위의장이 7일 국회에서 회동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은혜 정책수석부대표,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국민의힘 김정재 정책위의장, 민주당 이정문 정책위 수석부의장.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21대 대통령선거 당시 양당이 내세웠던 공통 공약을 이행하기 위한 ‘민생공약 협의체’(가칭)를 구성하기로 했다. 양당 정책위는 실무 협의에 착수하며, 민생법안 중 여야 간 이견이 크지 않은 사안부터 신속히 처리할 방침이다.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과 이정문 수석부의장, 국민의힘 김정재 정책위의장과 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7일 국회에서 만나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양당이 공통으로 제시한 공약이 200여 건이며, 이 중 입법이 필요한 것은 80여 건이다. 일부는 오히려 국민의힘의 공약이 더 전향적인 측면도 있어, 저희가(민주당이) 적극적으로 추진할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진 의장은 “여전히 여야 간 정치적 생각, 노선이 달라서 이견이 있는 법안이 적지 않다”면서 “그런 점은 충분히 협의·심사해서 처리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김정재 정책위의장 역시 “민생 앞에서는 여야가 따로 없다”고 강조하면서도, 노란봉투법, 양곡관리법 등 농업 관련 법안과 방송3법, 화물차운수사업법 등을 언급하며 “이견이나 논란이 있는 법안은 여야가 시간을 들여 합리적인 대안을 찾는 방법을 택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민주당은 국회 내 거대 여당이며 집권 여당으로서, 의석수를 앞세운 입법 강행은 야당뿐만 아니라 국민 입장에서도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회동 이후 김 의장은 기자들과 만나 “대선 당시 양당이 약속한 공통 공약을 실현하기 위해 실무진 차원에서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언급하면서 “문제는 이견이 큰 법안들에 대해 민주당이 7월 중 입법을 강행할 수 있다는 보도가 있는데, 이에 대해 일방적 추진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진 의장도 향후 이런 법안은 상임위에서 충분히 논의하자고 했다”고 전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던 법안들의 처리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법안에 대한 논의는 없었지만, 이견이 있는 사안은 여야가 협의해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고 말했다.

/고세리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