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람잡는 폭염’ 노인 피해 커져

장은희 기자
등록일 2025-07-07 17:07 게재일 2025-07-08 5면
스크랩버튼
대구·경북 연일 37도 넘기며 펄펄 
병원 응급실 온열질환 환자 급증
외부노동 고령자 등 취약층 위험
Second alt text
7일 대구 두류지하상가에서 폭염을 피해 나온 노인들이 지하 통로 의자에 앉아 더위를 식히고 있다. /김락현기자 

연일 37도를 넘나드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노인들의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7일 오후 대구 두류지하상가에는 쇼핑몰 통로에 마련된 의자마다 노인들이 자리 잡고 앉아 있었다. 얇은 모시 상의나 반팔 차림에, 머리에는 작은 수건을 얹은 채 연신 부채질을 하기도 했다. 작은 선풍기를 손에 쥐고 얼굴에 바람을 쐬거나, 작은 가방에서 물병을 꺼내 물을 마시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도심 지하상가가 ‘찜통 더위’에 갈 곳을 잃은 노인들의 ‘무더위 피난처’로 변한 것이다.

70대 김모(대구 두류동) 씨는 “매일 오전 10시쯤 이곳에 와 해가 기울 때까지 앉아 있다”며 “집에는 선풍기 하나 돌리는데도 숨이 막혀서 견딜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예전에는 은행 대기실이라도 들어가 쉬었는데, 요즘은 지점이 줄고 직원들 눈치도 보여 오래 있지 못한다”며 “갈 데가 없다”고 하소연했다.

안동에서도 연일 30도를 웃도는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안동성소병원 응급실에는 일사병과 열사병 증세로 내원하는 환자가 하루 평균 3명꼴로 늘고 있다.

7일 안동성소병원에 따르면 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된 지난 1일부터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돼 탈진하거나 의식을 잃은 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냉방이 어려운 주거 환경에 거주하거나 외부 노동에 종사하는 고령층, 쪽방촌 거주자 등 취약계층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기간 시작일인 지난 5월 15일부터 지난달 29일까지 대구 19명, 경북 47명 등 총 66명의 온열질환자가 생겼다. 경북에서는 온열질환으로 추정되는 사망자 1명이 발생하기도 했다. 전국 온열환자수는 425명을 기록했다.

대구기상청은 8일에도 대구·칠곡·김천·군위·의성 35도, 상주·예천·경산 등은 34도, 경주·영주·문경 등은 33도 안팎의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예보했다. 또 이번 주말까지 35도 안팎의 폭염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방민혁 안동성소병원 응급의학과 과장은 “열 탈진은 흔히 ‘더위 먹었다’는 증상으로, 오심, 구토, 어지럼증, 두통 등이 주로 나타난다”며 “즉각적으로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고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증세를 가볍게 넘기다 ‘열사병‘에 이르면 신체 여러 장기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며 “응급 상황으로 판단되는 즉시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후송해야 생명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피현진·장은희기자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