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7일 공식 출범을 앞두고 사실상 좌초 위기를 맞았다. 혁신위원장을 맡기로 했던 안철수 의원이 인적 쇄신안을 둘러싼 당 지도부와의 이견 끝에 위원장직을 전격 사퇴하면서다.
안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되지 않은 ‘날치기 혁신위원회’를 거부한다”며 “(위원장 사퇴 후) 전당대회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당일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안 의원이 위원장을 맡는 혁신위 인선안이 의결된 지 불과 30여 분 만에 벌어진 상황이다.
안 의원은 사퇴를 결심하게 된 이유로 자신이 제안한 ‘인적 쇄신안’을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받아들이지 않은 점을 들었다.
그는 “이번 혁신위는 반드시 성공해야 하기에 미리 (혁신안 수용) 약속을 받는 게 옳다고 판단했다”면서 “그래서 인선안이 미처 합의되기 전, 두 분에 대한 인적 쇄신안을 비대위에서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사를 타진했는데 결국은 받지 않겠다는 답을 들었다”고 설명했다.
인적 쇄신 대상으로 지목한 두 인물에 대해선 구체적인 이름을 밝히지 않았으나 “지난 대선 기간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자리에 있었던 분들”이라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권영세 전 비대위원장, 권성동 전 원내대표 등이 출당 또는 탈당 대상으로 거론됐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아울러 안 의원은 이날 비대위가 자신과 협의가 끝나지 않은 일부 혁신위원 인선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고도 주장했다.
당초 비대위는 7인의 혁신위원회 인선이 완료되지 않아 의결을 미룰 예정이었으나 이날 사전 논의를 거쳐 한 명을 제외한 6인의 인선을 우선 의결한 바 있다. 박성훈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후 기자들과 만나 “안철수 위원장을 비롯해 혁신위원으로는 재선의 최형두 의원, 호준석 대변인, 이재성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송경택 서울시의원, 김효은 전 교육부 장관 정책 보좌관”이라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이에 대해 “최소한 한 명에 대해서는 제가 동의한 바 없다”며 “비대위원 6명이 전부 확정될 때까지 인선안이 비대위에 상정될 줄 몰랐다”고 지적했다.
앞서 안 의원과 송 위원장은 혁신위원 구성과 관련해 원내외 인사 각 1명을 두고 이견을 조율해왔으며, 이 가운데 지도부가 안 의원의 동의가 없는 원외 인사를 포함해 인선을 강행했다는 것이 안 의원 측 주장이다.
안 의원의 돌발 사퇴 선언에 지도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송 비대위원장은 안 의원 회견 직후 기자들과 만나 “혁신위를 정상적으로 출범해 많은 혁신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 정리했으면 좋았을 텐데 지금 상황은 당혹스럽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안 의원이 주장한 ‘인적 쇄신안 거부’와 관련해선 “모든 안건은 혁신위에서 논의해 결정을 내려주면 비대위가 최대한 거기에 따라 할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대선 백서를 통해 대선 과정에서의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그 과정에서 책임질 부분, 누가 책임질지 등이 정해지면 혁신위와 비대위에서 조치를 할 수 있을 거라고 말했고 그렇게 하는 게 일의 순서가 아닌가 생각했다”고 부연했다.
결국 국민의힘은 혁신위원회 구성을 다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한 당 관계자는 “위원장을 새로 지명해야 하며, 의결된 혁신위원들도 다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세리기자 ksr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