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박성수 경상북도 안전행정실장, 국가재난관리 유공 홍조근정훈장 수훈 영예

이창훈 기자
등록일 2025-05-26 15:42 게재일 2025-05-27
스크랩버튼
마을순찰대 중심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 대전환 높이 평가

박성수 경상북도 안전행정실장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32주년 행정안전부 방재의 날 기념식에서 2025년 국가재난관리 유공으로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박성수(오른쪽)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이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32주년 행정안전부 방재의 날 기념식에서 2025년 국가재난관리 유공으로 홍조근정훈장을  수상했다

박성수 안전행정실장은 지난해 초 2023년 경북지역 산사태 피해를 교훈 삼아 기존 관 주도의 대피체계에서 벗어나 주민이 주도하는 마을순찰대 중심의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 대전환을 시행해 지난해 여름철 극한호우로부터 인명피해를 막은 점을 인정받았다.

이 밖에 도민 보호 재해복구패스트 운영, 재난 안전 분야 전문가 육성관리, 폭염 취약계층 지원 등도 함께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K-어서대피 프로젝트)은 △12시간 사전예보제 △1마을 1대피소 △마을순찰대 △주민대피협의체를 구축하는 등 민관이 협력하는 주민 중심형 재난 대응 모델로, 전국 최초로 시행됐다.

한편, 경상북도는 지난 2024년 7월부터 9월까지 이어진 집중호우 기간, 도내 22개 시군에서 총 19차례에 걸쳐 마을순찰대 3만 592명이 가동됐으며, 5688명의 주민이 위험지역에서 안전하게 대피했다.

특히, 작년 7월 8일에서 9일 사이 안동시 임동면 대곡리는 하루 동안 198㎜(최대 시우량 35.5㎜)의 폭우가 쏟아졌으며, 영양군 입암면 금학리에서도 10분간 42㎜라는 이례적인 호우로 주택 및 농경지 침수 등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인명피해는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행정안전부에서는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을 자연 재난 대응 최우수 사례로 선정했고 올해부터 전국으로 확산해 시행하고 있다.

박성수 안전행정실장은“앞으로도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선진 도민 의식을 총결집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