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명실상부한 청정 산업도시로 가는 포항

등록일 2025-05-25 18:04 게재일 2025-05-26 19면
스크랩버튼

경북 포항시가 산업부 선정의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 최종 후보지에 선정됐다.

정부는 지난주 포항과 부산, 울산, 제주, 전남, 충남, 경기 등 전국 7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발표하고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에너지심의위원회를 거쳐 지정 여부를 최종 확정한다고 밝혔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특별법을 근거로 지역에서 한전을 거치지 않고 전기를 생산하고 수요자에게 직접 전기를 팔 수 있도록 하는 특례 적용지역이다. 전력은 원자력이 집중된 경북 등 지방 도시에서 대부분 생산되는데, 소비는 주로 수도권에서 이뤄지고 있는 게 한국적 현실이다.

지방은 전기 생산에 소요되는 각종 인프라를 감당하고 있지만 전기료는 수도권과 지방이 똑같다.

지방에서 전기를 생산해 값싼 가격으로 팔 수 있게 되면 전기 수요가 많은 기업의 지방 이전도 내다볼 수 있다. 또 반도체 등 전기 수요가 큰 기업이 지방으로 옮겨올 경우 지방균형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 정부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만들고자 하는 취지도 이런 데 있다.

포항은 청정 암모니아 기반의 무탄소 분산에너지를 생산하는 모델을 정부 측에 제시했다. 영일만산단을 중심으로 청정암모니아 기반의 수소엔진발전 실증을 통해 40MW급의 무탄소 분산전원을 실용화해 청정전력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로 인해 포항은 전기 수요가 많은 이차전지와 철강기업의 전력 수요를 감당하고 탄소 가격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외지 기업의 포항지역 산단 유치에도 유리하다.

포항은 철강산업 도시로 세계에 알려져 있다. 산업구조 개편을 통해 철강과 함께 이차전지를 새로운 주력산업으로 삼고자 노력 중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후보지 선정은 지역산업 발전이란 측면에서 청신호라 할 수 있다.

청정에너지의 값싼 전기료로 산업을 뒷받침할 수 있다면 지역기업의 경쟁력이 올라가는 것은 물론 외지 기업 유치와 도시 전체가 활기를 찾는 소중한 기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후보지 선정과 그 의미를 살리는 지역사회의 노력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김진국의 ‘정치 풍향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