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손녀가 쓴 나의 이야기

등록일 2025-05-21 18:15 게재일 2025-05-22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몇 달 전 서울의 맏손녀에게서 전화가 왔다. 조부모님의 삶을 인터뷰해서 글을 써야 하는 숙제가 있다고 했다. 5학년인 손녀는 매우 조신했다. 특유의 조곤조곤한 말투는 나지막하되 다정했으나 더러는 집요하기도 했다. 할아버지께 양해를 구해 달라는 당부를 먼저 했다. 할아버지께서는 귀가 좀 어두우시니까 제 말을 잘못 알아들으실 것 같아서 할머니 인터뷰할 거예요. 할아버지께서 서운해하실 수도 있으니까요. 그럼 네 작은 전화 목소리를 어떻게 들으시겠니? 걱정말라는 나의 말을 듣고선 정해진 인터뷰 목록인지를 먼저 읽어주었다. 어린 시절, 학창 시절, 사회생활, 현재와 미래, 나에게 하고 싶은 말씀 등등이었다.

갑작스러운 전화였기에 준비할 겨를은 없었다. 약 20여 분 동안 손녀의 물음에 즉흥적이긴 했지만 성실히 답했다. 인터뷰를 다 마친 후 글로 적을 것이라면서 고맙습니다. 인사도 잊지 않았다. 전화를 끊고 나니 더 나은 대답을 할 걸 생각했지만 다시 전화하진 않았다. 그러곤 잊었다.

며칠 전 아들이 바로 그 책(?)을 우편으로 보냈다.

분홍색 종이 두 장을 반 접어 표지까지 총 8쪽. 빨간색 실로 묶은 선장본(?)이었다. 표지엔 제목인 듯 “이정옥 교수님의 삶”이라 크게 쓰고 손녀 이 윤 지음. 목차도 적었다. 오른쪽 하단에 내 얼굴임이 확실시되는 파마머리에 안경 낀, 팔자 주름 선명한 노인의 초상이 그려져 있었다.

이게 뭐라고 떨리기까지 할까. 나를 어떻게 표현하여 썼을까 호기심, 설렘, 두려움 등등의 감정으로 책장을 넘겼다. 인터뷰한 내용을 거의 가감 없이 차례대로 적었다. 페이지마다 짧디짧은 글 아래 글의 내용에 꼭 맞는 삽화가 자그마하게 그려져 있었다. 예를 들면 “어린 시절 과수원에서 아침마다 토마토를 따 드셨다. 토마토즙 때문에 입술이 따끔거렸던 기억도 있다고 하셨다.”는 글 아래 토마토를 베어 물며 얼굴을 찡그린 어린 여자아이를 그려 둔 식이다. 학창 시절 가야금을 배운 에피소드 아래엔 가야금 타는 긴 머리의 여자아이와 음표. 현재와 미래 페이지에는 글 쓰는 할머니, 한국어를 가르치는 할머니 모습을 적고 그렸다.

표지의 목차에는 없는 내용도 있었다. 글쓴이인 나(손녀)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라는 제목엔 내가 꾼 손녀의 태몽 이야기를 적었다. “손녀인 나에게 나의 태몽-고래떼가 바다에서 춤추는 꿈-처럼 넓은 세상에서 자유롭게 살라는 말씀을 하셨다.” ‘넓은 세상’은 ‘바다’요, ‘자유롭게’는 춤추는 고래라며 화살표로 표식해 둔 것이 놀라웠다. 내 말을 찰지게 이해해서 비유 풀이까지 한 것 아니겠는가. 그 페이지엔 바다에서 춤추는 고래와 지구 위에서 웃으며 춤추는 여자아이의 삽화가 있다.

마지막 페이지는 무려 “작가의 말”이었다. 흐뭇하고 대견하고 기특하고 감동적이어서 그대로 옮겨본다. “그렇다. 생각했듯이 나는 할머니의 손녀이다. 그리고 나는 이 책의 작가이다. 이 책의 주인공인 이정옥 할머니는 은퇴한 지금도 열심히 새로운 지식을 배우고 계신다. 여러분도 이정옥 할머니처럼 열심히 공부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것이다.”

작가인 손녀가 글을 쓰고 그림을 그려 만든 첫 책(?)의 주인공이 된 이 맘을 어찌 표현할 말이 없다.

/이정옥 위덕대 명예교수

이정옥의 신황금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