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나무

등록일 2025-05-19 18:53 게재일 2025-05-20 18면
스크랩버튼
손택수

대나무는 자신의 가장 외곽에 있다

끝이다 싶은 곳에 끝을 끄을고

한 마디를 더 뽑아올리는 게

대나무다

끝은 대나무의 생장점

그는 뱀처럼 허물을 벗으며

제 몸을 얻는다

뱀의 혀처럼 갈라지고 갈라져서

새잎을 뽑아낸다

만약 생장이 다하였다면 거기에 마디가 있을 것이다

마디는 최종점이자 시작점,

공중을 차지하가 위해 그는

마디와 마디 사이를 비워놓는다

그 사이에 꽉 찬 공란을 젖처럼 빨며 뻗어간다

풀인가 나무인가 알다가도 모르겠다

자신이 자신의 첨단이 된 자들을 보라

시인은 사물에 대한 사색과 관찰을 통해 삶의 통찰을 얻곤 한다. 위의 시는 대나무로부터 “자신이 자신의 첨단이” 되는 법을 읽어낸다. 끝에서 “한 마다를 더 뽑아올”리고는 “뱀의 혀처럼 갈라”져서 “새잎을 뽑아”내는 방식으로 대나무는 첨단을 살아간다는 것. 나아가 대나무는 정말 끝에 다다랐을 땐 새로운 마디를 시작한다. 마디와 마디 사이 “공란을 젖처럼 빨”면서. 시인이 전범으로 삼아야 할 대나무의 삶.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